아이옷·의료장비… 갈길 먼 ‘공유의 시대’
인천시가 함께 나누고 행복은 더하는 ‘공유 도시’를 꿈꾸고 있다. 집은 물론 각종 물품 등을 여럿이 함께 쓰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이 덧붙여지며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시는 이 같은 공유 경제를 토대로 관련 산업도 발전시키고 시민협력 등 문화까지 창조하려 한다.
시는 2019년을 공유도시 추진 원년으로 삼고, 최근 공유 경제 촉진을 위한 기본 계획도 세웠다. 시가 앞으로 공유 도시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정책 등을 살펴보고, 인천의 특색도 담고 산업도 살릴 최적의 공유 정책을 찾아본다.
인천의 공유 경제는 타 도시와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다. 법적 기준이 늦다보니 아직 자체 공유 플랫폼도 없는 등 지원 정책이 약하고, 결국 지역 내 공유기업 수도 적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 2018년 1월1일 공유경제 촉진 조례를 만들었고, 올해부터 사업 추진을 본격화 하고 있다. 이미 서울시(2012년)나 광주광역시(2013년), 경기도(2014년)가 조례를 만들고 사업에 뛰어든 것에 비하면 한참 늦은 출발이다.
다만 지난 2007년 인천시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장난감과 책을 빌려주던 것에서 시작, 현재 16호점까지 늘어 4만여개의 장난감과 5만권의 책 등을 시민과 공유하는 것이 눈에 띈다. 또 연수구도 지난 2018년부터 공유자전거(일반·전기) 정책을 펴고 있다. 인천시내엔 집을 서로 공유해서 쓰는 ‘쉐어 하우스’와 자동차를 서로 나눠쓰는 ‘카 쉐어링’, 창고·부엌 같은 ‘공간 공유’ 등 현재 지역 내 30여개의 기업이 민간 차원에서 공유 경제를 이끌고 있다.
그러나 서울 등 다른 도시는 이뿐만이 아니라 동네공방 및 아이옷 나누기, 의료장비, 출력장비 등 너무나 다양한 공유 기업들이 움직이고 있다. 서울·부산·광주·경기도 등은 공유 종합포털까지 만들어 많은 시민들이 공유 자원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시도 2019년 들어 공유 경제 지원에 뛰어들었다. 시는 처음으로 공유경제와 관련해 5천만원의 사업비를 확보, 일선 군·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공유경제 사업을 공모했다. 지난 4월 시 공유경제촉진위원회 심사를 거쳐 미추홀구는 물품공유센터와 학교 부설주차장 개방사업을, 연수구는 공유자전거, 남동구는 공구대여소와 장난감 수리 센터, 부평구는 소통하는 마을부엌, 계양구는 온 마을 공유센터, 서구는 생활 공구 공유센터 등을 선정·지원했다.
시 관계자는 “2019년부터 인천시내 공유자원을 발굴하는 등 공유경제 활성화에 나섰고, 2020년 인천만의 공유 허브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 공유경제가 인천시민의 생활 속에서 확산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