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로컬이슈] “집값 하락 우려”… ‘충전소 님비’ 장벽 먼저 넘어야
지역사회 로컬이슈

[로컬이슈] “집값 하락 우려”… ‘충전소 님비’ 장벽 먼저 넘어야

아파트 등 전기료·주차면 걸림돌, 기존 주유소·LPG 충전소 활용... 전문가, 이익형 공유제 등 제시

28일 오후 화성동탄수소충전소에 충전을 기다리는 차량들로 긴 줄이 늘어서 있다.조주현기자
28일 오후 화성동탄수소충전소에 충전을 기다리는 차량들로 긴 줄이 늘어서 있다.조주현기자

전문가들은 친환경차량 보급 가속화에 발맞춰 인프라 확충이 함께 이뤄지려면 국가차원의 지원과 홍보가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등 공동주택 내 전기차 충전 주차면을 할애하거나, 수소 및 전기 충전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 일종의 ‘님비현상’을 해결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29일 경기도내 지자체 등에 따르면 도내 지자체들이 수소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으나 안전을 우려한 주민 반대 등으로 인해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심지 비싼 땅값 등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실제 부천시는 지난해 삼정동에 수소충전소 설치를 추진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중이다.

부천시는 수소연료전지차 구입에 3천2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해 연말까지 70대의 수소연료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후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 따른 수요증가를 고려해 2022년까지 170대의 수소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시가 사전 조율없이 충전소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을 우려하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차 보급에 비해 관련 인프라 구축이 더딘 이유 중 하나로 ‘일부 주민들의 반대’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와 관련, 수소차 관련 인프라에 대해선 기존 주유소와 LPG 충전소 등에 도심형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는 전략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님비현상이 커 충전소를 설치하는데 고충이 많다”며 “수소가 무조건 위험하다는 불안감을 우선 해소해야 한다. 수소충전소에 대해선 무작정 공포감이 있는데,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수소차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그간 주민 반대와 부지 확보 어려움 등으로 지금껏 도시 외곽에 충전소 설치가 집중됐는데, 도심형 수소충전소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충전소 설치 활성화를 위해 ‘상생형 이익공유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 교수는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 시 지역주민들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상생형 이익공유제 등도 충전소 설치를 유도 할 수 있다”며 “정부가 효과적인 친환경충전소 설치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기차 충전시설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 내 전기차 충전 주차면 할애ㆍ충전에 따른 공용시설 전기료 인상 갈등이 인프라 확충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친환경 자동차 전문가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전력공사나 정부가 공용전기료를 지원 또는 면제해줘야 인프라 설치에 대한 시민들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연구위원은 주거지ㆍ직장에 공용 완속충전기를 확충하고 주유소에 급속 충전기 설치를 늘리는 ‘선택형 인프라 확대’ 전략을 제시했다.

공공시설과 관광, 문화시설에 공용 전기차 충전소 설치 비중을 대폭 낮추고 주거ㆍ업무ㆍ휴게시설ㆍ주차시설 등 운전자들이 많이 찾는 곳에 충전소를 증설하거나 신규 설치 비중 확대를 꾀하자는 것이다.

이밖에 ▲충전요금 현실화 ▲충전기 옥외광고 허용 ▲민간충전사업자 사업참여기회 제공 ▲설치지점 부지선정 시 민간충전사업자의 선택권 확대 등도 친환경 충전소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로컬이슈팀=하지은ㆍ정민훈ㆍ김현수ㆍ김영호ㆍ최태원ㆍ노성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