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내년도 본예산에... 입지 선정 용역비 2억원 반영 후보지 나와도 적정성 등 검토
수원시 자원회수시설(영통소각장)의 새로운 보금자리 계획안이 2024년 하반기에 나올 예정이다.
16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도 본예산에 영통소각장(하루 처리용량 600t, 영통구 영통동 962-3번지) 입지 선정 용역과 관련한 예산 2억원을 반영했다.
지난달 29일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영통소각장의 이전을 공언(경기일보 9월30일자 5면)한 상황에서 시가 해당 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한 것이다.
다음 달 제372회 시의회 제2차 임시회에서 예산 심의를 받을 시는 내년 3월부터 해당 시설을 어디로 이전할지 고민 중이다. 용역 기간이 18개월이기에 영통소각장의 새로운 후보지는 2024년 하반기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영통소각장과 같은 쓰레기 소각장은 주민 혐오시설로 분류되는 만큼 이 결과가 곧바로 공개되면 새로운 입지 주변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살 수 있는 등 또 다른 갈등이 초래되기에 시는 한동안 이를 비밀에 부친 채 적정성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이번달 말 제2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영통소각장 이전 TF를 구성한다. 대규모 쓰레기 소각장의 도시 입지 문제인 데다 예산 역시 많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기에 시는 실무 부서인 환경국 청소자원과를 비롯해 도시 분야 부서, 예산 관련 부서 등을 이에 포함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이재준 시장이 영통소각장의 이전 기간을 최소 10년으로 내다본 만큼 시는 이 동안 예산을 들여, 노후화된 영통소각장의 안전성을 담보한다는 계획이다. 대보수 차원은 아니다.
시 관계자는 “추후 새로운 후보지가 선정되면 폐촉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 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사비의 20%를 주민 편익시설로 사용하는 등 관련 지역을 위한 정책을 내놓을 것”이라며 “이번 예산 반영은 영통소각장의 이전 사업의 첫발 격으로 이 과정에서 기존 영통소각장을 세심하게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1천487억원을 들여 지난 2000년부터 가동한 영통소각장에 대한 대보수 사업을 2025년 말까지 완료하려 했으나 주민 반발로 전면 중단한 채 지난 8월부터 공론화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그 결과, 공론화 참여 시민 200명 중 80.4%가 이전 추진에 동의했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