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전국동시조합장선거 D-107] ① 100년 농축수산협 초석
경제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전국동시조합장선거 D-107] ① 100년 농축수산협 초석

법·제도 개혁 등 현안개선 ‘중요’
올해 500명 후보자 출사표 예상,,.道 180개 조합 내년 3월 쏠린 눈

조합장만 바뀌어도 농정에 변화가 온다. 경기도 농축수산협의 100년 미래 초석을 그리는 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107일 앞으로 다가왔다. 도내 180개 조합과 32만5천903명의 선거인이 2023년 3월8일만 바라보고 있다. 본보는 선거를 앞두고 조합별 쟁점과 격전 예상지, 개혁 과제 등을 살펴봤다. 편집자주

 

사료·비료·유류비… ‘錢의 전쟁’ 핫이슈

조합장선거는 ‘왜’ 중요할까.

궁극적으로 조합장선거는 농업 생산성을 높여 지역 경제·사회·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의의를 둔다. 2015년 이전까지는 농·축협, 수협, 산림조합이 각각의 일정에 따라 선거를 열었지만 이후부터는 법(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 동시 선거로 치러지고 있다.

과거엔 농민 개개인이 지역별 현안을 가지고 있어도 이를 하나의 담론으로 이슈화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이젠 거대 조직으로서의 공공성을 담보받는 만큼 조합장이 ‘미래 농정’, ‘미래 농협’을 이끌기에 선거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특히 선출된 조합장은 지역농협을 대표해 업무를 집행함은 물론, 이사회와 총회의 의장도 맡는다. 이들이 농협중앙회장까지 선출하기 때문에 어깨가 무거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투명한 선거를 추진하기 위해 이번 조합장선거 역시 지난 선거와 마찬가지로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가 위탁해 실시한다.

20일 경기도선관위에 따르면 현재 31개 시·군에는 총 180개의 조합이 있으며, 모두 107일 뒤 선거를 진행할 예정이다. 조합 수는 △농업협동조합(146개) △축산업협동조합(17개) △산림조합(16개) △수산업협동조합(1개) 순으로 많다.

앞서 2015년 제1회 조합장선거 당시 총 후보자가 487명, 2019년 제2회 조합장선거 당시 총 후보자가 489명이었음을 감안하면, 올해도 대략 500명에 달하는 후보자가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모든 조합의 쟁점은 결국 ‘돈’이다.

쌀·특산물 등 농축수산물의 도매가 문제, 사료·비료값의 폭등, 원유와 같은 기름가 인상 등이 메인 이슈다. 최근 치솟은 물가로 저마다의 조합원들이 ‘먹고살 길을 달라’고 볼멘소리를 하면서 조합장 후보자들에게도 법 개정이나 제도 개혁 등을 통한 현안 개선이 예민하게 다가온다.

익명을 요구한 경기 남부권 한 지역축협 관계자는 “지난 선거에선 소위 ‘현직 프리미엄’이 있었는데 이번엔 ‘누가 비료값을 책임질 것이냐’에 달렸다고 본다”며 “농가 입장에선 사료·비료값이 문제고 유통계 입장에선 유류비·물류비가 문제다. 소매상에게도 포장비·인건비를 어느 조합장이 도와줄 것인지에 따라 투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연우기자

‘조합장 선거 = 돈 선거’ 악순환의 고리 끊는다

식사 대접·문자메시지 비방 재연 우려 ‘공명선거 실천’ 총력전

선관위, 광역조사팀 본격 운영… 조합원 인식개선 운동도 전개

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의 공명성을 확보하는 중점은 ‘한 표=돈’의 고질적 관행을 깨는 데 있다.

시골 인심이라는 명목으로 투표권자에게 식사를 대접하고, 암암리에 문자메시지로 특정인을 비방하는 식의 행태가 그동안 조합장선거를 ‘돈 선거’로 불리게 했기 때문이다. 21일 기준 선거 당일까지 남은 시간은 107일. 선거관리위원회 등 지역 관계기관들은 공명 선거 시행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먼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돈 선거’ 예방을 위해 지난 11일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 선관위 등과 중점관리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경기선관위도 ‘돈 선거’ 척결 전담 광역조사팀을 운영해 금품 제공자에 대해선 고발 등 강력 조치를 하기로 합의하고, 과거 ‘돈 선거’가 발생한 지역 등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해 공명선거가 치러질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춘다.

조합장선거 사무를 위탁 받은 도 선관위가 이처럼 ‘돈 선거’ 예방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그간 조합장 선거가 받아 온 오명 탓이다. 선거에 나온 후보자들이 ‘한 표’를 부탁한다며 금품이나 향응 등을 제공하는 일이 비일비재해서다.

특히 조합장 선거는 대선이나 총선과 달리 선거인 수(조합원 수)가 지역별 수백~수천명으로 비교적 적은 데다 공직선거가 아니다 보니 후보자들과 조합원들 사이에선 ‘돈’을 주고 받아도 된다는 인식이 만연해 있었다. 실제로 이번 선거를 앞두고 벌써 조합장 선거에 출마하려는 사람에 대한 허위사실을 담은 문자메시지를 유포한 조합원이 검찰에 고발되기도 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 2019년 제2회 동시조합장선거에서도 경기북부경찰청은 금품·향응 제공 3건, 흑색선전 1건, 사전 선거운동 1건 등 5건의 수사를 진행한 바 있다. 전국적으로 조합장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던 2010년 양주에선 은현농협 조합장 출마자 A씨(51)가 조합원 12명에게 상품권을 돌리다 농업협동조합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구속된 일도 있다.

아직 선거인 명부 확정 및 입후보자 확정 등 본격적인 일정이 시작되기 전인 만큼, 각 지역조합들의 목표 중 하나도 ‘조합장 선거=돈 선거’라는 오명을 씻는 것에 맞춰져 있다.

현재 경기도 내에서 조합원 수가 가장 많은(7천400여명) 평택 안중농협은 농협중앙회 차원에서 조만간 공명선거 관련 지침이 내려오면 대의원 총회에서 공명선거 결의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수원농협도 이달 28일 대의원 총회에서 공명선거 추진 결의대회를 실시하고, 조합원들에겐 ‘깨끗한 선거’를 위한 홍보 안내장도 송부해 분위기 조성에 나서고 있다.

아울러 경기남부수협은 수협중앙회 차원에서 하달되는 공명선거 관련 안내 등을 각 지역 어촌계장에게 전달해 조합원들의 인식 개선 활동에 힘쓰고 있다. 남양주축산농협도 오는 26일 임직원들과 대의원들이 모인 총회에서 공명선거 추진 결의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조합의 자율성은 최대한 존중하지만, 위법 행위에 대해선 무관용 원칙으로 엄중 대응하기로 했다”며 “이번 조합장선거에서 돈 선거 척결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고질적인 금품 수수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