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또 멈춘 김포도시철도… 승객들 ‘분통’
지역사회 김포시

또 멈춘 김포도시철도… 승객들 ‘분통’

관제실 서버 불… 한시간 넘게 연착
잦은 운행 중단에 시민 신뢰 잃어... 골드라인 관계자 “요금 환불 조치”

김포도시철도가 반복되는 사고로 대중교통으로서 신뢰를 잃고 있다. 사진은 김포도시철도 전동차. 김포시 제공 

 

김포도시철도의 반복되는 사고에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사고 때마다 내놓는 재발 방지 되풀이에 신뢰를 잃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김포시와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16분께 양촌읍 차량기지 내 종합관제실 서버(UPS)에서 전기적 원인으로 불이 나면서 모든 구간 열차 운행이 중단된 뒤 구래·운양·풍무·김포공항역 관제실을 거점으로 통제 방식을 전환해 이날 오후 11시37분께부터 운행이 재개됐고 이날 오전 2시까지 연장 운행됐다.

 

김포골드라인 측은 전원 공급 패널이 불에 타면서 합선이 발생해 화재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승객들은 사고로 김포도시철도 전 구간 전체 열차 12대의 운행이 1시간 넘게 중단되자 불만을 터뜨렸다.

 

출퇴근길 의존도가 높은데도 사고 이후 운영사 대처가 미흡했다고도 지적했다.

 

A씨는 “운영 중단이 다른 지하철에 비해 너무 잦다. 후속 조치도 항상 최악”이라고 토로했다.

 

김포골드라인은 열차 고장을 비롯해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 출근시간대는 폭설로 일부 전동차가 차량기지에 발이 묶이면서 운행이 지연돼 극심한 혼잡이 빚어졌다. 2020년 12월 퇴근시간대는 열차가 갑자기 멈춰 서면서 승객 등 600여명이 갇혔고 일부는 선로를 따라 비상대피구역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image
감범수 김포시장이 14일 오후 김포도시철도 사고 직후 차량기지 관제실을 찾아 사고상황을 보고 받고 있다.  김포시 제공

 

정치권도 가세했다.

 

김주영 국회의원(김포갑)은 “각종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예산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상혁 국회의원(김포을)도 “철저한 원인 조사 후 시민들께 보고하도록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병수 시장은 “화재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되지 않도록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다짐했다.

 

김포골드라인 관계자는 “불편을 겪은 승객들을 대상으로 요금 환불 등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