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는 88조6천153억→94조2천640억… 6.4%나 상승
국내 주요 기업들의 인건비가 대폭 상승됐지만 일자리 창출보다는 기존 직원들에게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100대 기업에 총 인건비 72%가 집중되는 ‘편중’도 나타났다.
13일 기업정보 분석업체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1천대 상장기업의 고용 인원은 총 132만7천383명으로, 1년 전(130만6천184명)보다 1.6% 소폭 증가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인건비는 88조6천153억 원에서 94조2천640억 원으로, 6.4%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 말(고용 인원 129만219명ㆍ인건비 85조5천463억 원)과 비교하면 고용이 2.9% 늘어나는 동안 인건비는 10.2% 올랐다.
CXO연구소는 이를 두고 “최근 몇년간 인건비가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증가분이 새로운 일자리 창출보다는 기존 직원들에게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하는 데 쓰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1천대 상장기업의 인건비 증가액(5조6천487억 원)은 연봉 5천만 원을 받는 직원을 11만2천명 가량 고용할 수 있는 액수지만 실제 고용은 2만1천명 늘어난 데에 그쳤다.
특히 일자리 창출도 직원 1만명 이상 대기업만 새로 채용하는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지난해 늘어난 고용 인원 가운데 79.3%(1만6천815명)는 이들 대기업에서 나왔다. 아울러 지난해 1천대 상장기업의 인건비 가운데 72.2%고용의 62.9%는 상위 100대 기업에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대기업들이 고용보다 인건비를 큰 폭으로 계속 늘릴 경우 중소기업과의 임금 격차가 더 벌어져 사회적 불평등이 커질 수 있다”면서 “인재가 대기업으로 빠져나가 중소기업 성장이 약화할 가능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결국에는 대기업의 경쟁력까지 떨어뜨림으로써 핵심 생산시설 등을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해외로 이전하려는 기업이 속출하는 현상으로 이어질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허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