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수위’ 10대 불법도박… 손 놓고 있는 도교육청
경기도 지역 10대 청소년들의 불법도박이 심각한 수준이지만 경기도교육청 차원의 도박 예방 교육은 전무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청소년 도박 문제의 심각성을 조기에 인지해 관련 조례까지 제정한 서울 등 타 시ㆍ도 교육청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2일 문체부 산하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와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를 통해 도박 예방 교육을 받은 경기지역 학교는 전체 7.3%(특수학교 제외)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학교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초등학교가 전체 0.8%(1천241교 중 11교), 중학교 14.7%(625교 중 92교), 고등학교 16%(363교 중 61교, 일반고 기준) 만이 도박 예방 교육을 받았다. 올해 5월 기준 현재까지 초등학교 4곳, 중학교 20곳, 고등학교 19곳이 도박 예방 교육에 참여했다.
경기도교육청은 도박 예방 교육과 관련해 일선 학교에 가정통신문, 방학자료 등으로 도박 예방 교육을 안내하는 형식적인 수준에 불과, 도박 폐해 및 부작용에 대한 교육, 예방 및 홍보, 도박중독 치유·재활 관련 프로그램 등은 전무한 실정이다.
반면, 전라북도, 경상남도, 서울시 등 3개 교육청은 학생 도박문제의 심각성을 조기에 인식, 지난해와 올해 ‘학생도박예방교육에 관한 조례’를 제정ㆍ운영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청소년 도박에 심각성을 인지해 지난 1월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며 “지난 5월 도박 문제 사안 발생 시 학교가 대처할 수 있는 메뉴얼을 제작ㆍ보급했고 일선 학교에 도박 예방 교육과 관련해 예산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교육청은 조례를 통해 5년마다 학생 도박 예방 교육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특히 전라북도와 경상남도는 도박 예방 교육과 관련한 위원회의를 구성하는 내용을 조례에 넣어 도박 문제에 다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했다.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관계자는 “경기지역 청소년 불법도박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정확한 실태 조사는 물론 관계 기관 간 협의를 통해 교육 당국의 신속한 예방 및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청소년 불법도박과 관련해 도박 예방 교육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많지 않다”며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연계 또는 자체 역량강화 논의 등 다각도로 청소년 도박 문제를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성남=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