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김포공항 이용객, 수요 분산 대책을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의 포화가 예상되면서 수도권 신공항의 필요성이 대두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인구ㆍ산업ㆍ교통의 중심지인 경기남부지역이 신공항 조성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타당한 수요 예측 없는 지방공항 확대를 지양하고, 수도권의 경우 세계 곳곳의 ‘메가시티’처럼 다수의 공항 운영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뉴욕과 런던 등 메가시티라고 불리는 세계 중심 도시들 가운데 단 2곳의 공항만 운영하는 지역은 대한민국의 수도권밖에 없다”며 “더욱이 10여 년 후 이 2곳의 공항마저도 넘쳐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포화 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항공 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신공항 마련 등에 대한 논의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또 허 교수는 “공항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배후도시의 풍부한 인구 ▲우수한 접근성 바탕의 산업 네트워크 집중 ▲매력적인 관광자원 등이 필요한데, 경기남부지역은 이 같은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최적의 입지”라며 “공항도 시장경제의 원리에 따라 찾는 고객이 있어야 작동할 수 있는데, 지방공항의 경우 김포ㆍ제주ㆍ김해 등을 제외한 대다수가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더 이상 수요 부풀리기와 지역 이기주의로 인한 적자공항 설립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최근 정부가 전북지역의 새만금 국제공항 사업을 예비타당성 면제 대상으로 선정한 것을 두고 벌써 ‘총선 대비 표심 모으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며 “일본의 경우 1990년대 거품경제(Bubble Economy)가 무너지면서 경제위기가 찾아오자 이를 타개하고자 전국적으로 대규모 SOC 사업을 벌인 바 있다. 이로 인해 일본에 고객이 찾지 않는 ‘지방 유령공항’이 양산됐는데 우리가 이런 전철 밟을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엄 소장은 “항공 서비스가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한 만큼 실제 수요가 풍부하고 접근성이 우수한 경기남부지역에 신공항 조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호준ㆍ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