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영역, 법률에 제한... 집행할 수 있는 ‘주체’ 필요”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콘텐츠인 ‘판문점’의 평화관광을 위해선 이를 집행할 수 있는 주체가 필요합니다”
전효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산업연구실장은 “현재 판문점은 공공영역은 각종 법률에 제한을 받고, 민간인들은 참여 창구가 없는 실정이다. 향후 평화관광이라는 정책 집행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관련 수단이 필요하다”며 이처럼 밝혔다.
현재 판문점을 포함해 DMZ(비무장지대) 견학 및 관광업무 등은 범정부가 참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평화관광업무, 접경지역지원은 행정안전부 등이 맡고 통일부는 판문점 견학지원센터 운영, 국방부는 군사 관련 업무 등을 담당한다. 여기에 경기도와 파주시 등도 참여하고 있다.
전 실장은 이에 따라 “판문점 평화관광이라는 아젠다(협의주제)를 공고히 끌고 갈 수 있도록 정책과 예산 등을 기획하는 민관협력의 평화관광위원회와 내외국인 방문객을 전담 관리하는 광역권 평화관광센터를 설립해야 한다”며 “그래야 지역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흩어져 있는 판문점 개별 업무도 일원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가칭 경기평화관광센터가 판문점 등을 맡고 강원평화관광센터는 동부지역 DMZ를 전담하는 게 효율적 체계라는 것이다.
그는 이어 “판문점 평화관광은 임기가 제한된 정부 등 공조직 참여보다는 지역주민들이 주도해야 지속성과 안정화가 될 것”이라며 “지역주민 역량을 키워 공공의 파트너로서 우리 동네에 뭐가 있는지 등 주민주도형사업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판문점 평화관광을 통해 접경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건강하게 잘 살도록 하기 위해서다.
전효재 실장은 “판문점 평화관광은 단순히 군사시설을 민간에게 개방하는 안보관광(교육)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며 “ 판문점은 접근성이 뛰어나야 한다. 그래야 관련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다. 알리고 방문하고 즐기는 장소여야 한다. 기존 관광포인트가 아니라, 창의적인 영역에서 새로운 관광브랜드와 관광상품 등이 발굴돼야 글로벌한 평화관광지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