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중구 항동7가·연안부두 도시재생 밑그림 그리기에 착수(경기일보 9일자 1면)한 가운데, 일대를 수산물 판매 및 친수시설 등을 통해 활성화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14일 ‘연안항 및 남항 배후지역 일원 기능변화에 따른 정책 방향 연구: 항동7가를 중심으로’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내항·연안항·남항의 항만 기능이 쇠퇴하고 해운·여객 운송이 변화함에 따라 항만배후지역도 대비가 필요한 시점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항동7가 등은 바다에 접근하기 쉬운 이점을 살려 친수공간을 중심에 배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상업시설과 연계한 보행 중심축, 연안부두 트램 노선과 연계한 대중교통 중심축을 형성하는 공간구조를 제시했다.
단기적 구상안으로는 수산물어시장을 중심으로 한 보행 가로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대로축의 연안어시장 전면부 개선,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폭의 확충, 사선주차를 일렬주차로 관리, 수산물어시장 주변의 쾌적성을 높이는 방안이다. 연구원은 상트페테르부르크광장-수산물어시장-남항친수공원에 이르는 보행축이 필요하다고 봤다.
장기적 구상안은 연안항 수제선 정비와 연계한 친수공간의 확장과 활성화, 수산물어시장의 이전 등을 담고 있다. 국제터미널 이전 부지 앞 준공업지역의 전면 정비, 연안부두트램과 연계한 대중교통 중심가로 조성 등 과감한 공간 개편도 포함한다.
연구원은 이를 위해 시가 주도적으로 인천항만공사(IPA)와 수협 등 권리·관리 주체와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유휴공간을 활용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또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석탄부두와 모래부두 이전을 지속 추진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안내영 연구위원은 “연안항 주변은 항만과 바다와 함께 시장, 공장, 창고 등 시민의 삶이 녹아있는 장소로 여러 가지 잠재성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어 “선도적 사업으로 연안항 일대의 활성화를 이끌어 낸다면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큰 축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