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3 (목)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4ㆍ15 총선, 경기ㆍ인천 투표율 하위권 여전…“이익보다 가치 선거 필요”

4ㆍ15 총선 경기ㆍ인천 투표율이 예년과 마찬가지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하위권에 머문 가운데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정 민원’ 중심이 아닌 ‘가치 중심’의 선거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경기도의 잠정 투표율은 도내 선거인수 1천106만7천819명 중 719만2천215명의 참여로 65.0%를 기록, 전국 17개 시ㆍ도에서 13번째에 머물렀다. 이는 전국 투표율(66.2%)보다 1.2%p 낮은 수치며,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인 울산(68.6%)과 비교해 3.6%p 낮았다. 또 인천의 경우 63.2%를 나타내며 꼴찌를 기록한 충남(62.4%)에 이어 세 번째로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경기와 인천 지역의 투표율은 역대 선거에서 지속적으로 하위권을 차지했다.

지난 2018년 제7회 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 투표율은 57.8%로 전국 투표율(60.2%)보다 2.4%p 낮게 나타나 17곳 중 15위를 기록한 바 있다. 인천은 55.3%로 최하위였다. 2016년 지난 20대 총선에서는 그나마 경기도가 9위를 차지했지만, 전국(58.0%)보다 낮은 57.5%에 머물렀다. 인천은 14위(55.6%)로 역시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대해 도내 정치권과 경기도선관위는 경기ㆍ인천의 투표율 저조가 특정 정당에 대한 강력한 지지층이 많은 경상도ㆍ전라도와 달리, 경기도에는 유독 중도층이 많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중도층의 투표장 유입이 상대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다.

도내 정가 관계자는 “경기도는 인구가 가장 많으면서 특히 부동층이 많다”며 “단기적으로 투표율을 높이려고만 하면 안 되고, 앞으로 도내 유권자들이 정치적 관심을 두도록 장기적인 고민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도내 유권자인 A씨는 “사실 후보자들 면면을 보면 누구를 뽑아야 할지 모르겠다. 이번 총선에서도 투표할 생각이 없었으나 주변의 독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표를 던졌다”면서 “공약도 지하철역 설치한다는 게 나와 지역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도 잘 모르겠고, 국회의원들이 내세울 만한 내용인지도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은 경기도가 여전히 부동산ㆍ철도 등 이익ㆍ민원 중심으로 선거 치르기 때문에 일부 유권자에게만 표심 자극할 뿐이라고 분석했다. 이 사무총장은 근본적으로 유권자를 끌어들일 후보자, 공약 등이 이제는 경기도에서 나와줘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지금의 경기지역 선거가 전국을 대표하는 지자체인 경기도의 위상과는 맞지 않다는 것이다.

이 사무총장 “경기ㆍ인천 지역에서 후보자들이 특정 민원을 위한 ‘이익 중심의 선거’를 뒤로하고 ‘가치 중심의 선거’를 보여줘야 한다”며 “그래야 도민들을 투표장으로 유도할 수 있고, 전국 투표를 리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