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후원금 집행 문제를 두고 곳곳에서 파문이 일고 있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 대표 출신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인의 회계 논란이 불붙은 상황에서, 이번엔 ‘나눔의 집’ 내부 고발이 나왔다.
김대월 학예실장 등 나눔의 집 직원 7명은 19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나눔의 집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보금자리임을 내세우며 할머니들을 안전하고 전문적으로 돌보는 전문요양시설이라고 광고했지만, 실상은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무료 양로시설일 뿐 그 이상의 치료나 복지는 제공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법인이 채용한 두 명의 운영진에 의해 20여 년간 독점적으로 운영됐고 운영진은 할머니들의 병원 치료비, 물품 구입 등을 모두 할머니들 개인 비용으로 지출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직원들은 “법인이 막대한 후원금을 모집해 60억 원이 넘는 부동산과 70억 원이 넘는 현금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 문제가 그대로 방치된다면 국민들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써달라고 기부한 돈은 대한불교조계종의 노인요양사업에 쓰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김 학예실장 등은 지난 3월10일 국민신문고에 ‘나눔의 집에서 후원금을 건물 증축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며 민원을 제기했다. 민원은 지난해 나눔의 집에 들어온 25억 원의 후원금 중 할머니들에게 쓰인 돈은 6천400만 원에 불과하다는 내용이다.
김 실장 등은 적립한 후원금(지난해 말 현재 65억 원)이 현재 나눔의 집에 거주하고 있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6명(평균연령 95세)이 모두 돌아가신 뒤 노인요양사업에 쓰일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가 불거지자 경기도는 지난 13∼15일 나눔의 집 법인에 대한 특별지도점검을 실시한 뒤 분석작업을 벌이는 중이다.
한편 김 실장 등의 내부 고발에 대한 입장을 듣기 위해 나눔의 집 시설장인 안신권 소장 측에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끝내 연결이 되지 않았다. 광주=한상훈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