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김대통령 밀레니엄 정상외교의 의미
정치 북한 국제

김대통령 밀레니엄 정상외교의 의미

김대중 대통령의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 참석은 남북협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번 회의 참석은 10월 ASEM(아시아.유럽정상회), 11월 ‘아세안+3’와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회의 등 연말까지 이어질 다자 외교의 시발점이라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이번 정상회의는 새천년을 맞아 유엔의 좌표를 설정하기 위해 코피 아난사무총장이 제안해 이뤄지는 것으로, 단일 국제행사로는 사상 최대인 160여개 국정상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한반도의 변화상을 설명하고 국제사회의 이해를 구하기에는 최적의 기회라는 것이 외교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김 대통령의 유엔 기조연설 제목도 ‘평화와 도약의 한반도 시대’다.

김 대통령은 연설을 통해 지구상 마지막 냉전지대인 한반도에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평화무드가 조성됐음을 설명하고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지원 및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할 계획이다.

또한 김 대통령과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6일(한국시간) 회동은 국제무대에서 남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첫 만남 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동안 남북 외교가 첨예하게 대립해온 무대인 유엔에서 김 대통령과 북한의 형식상 국가원수인 김 상임위원장이 만나는 것은 국제무대에서 남북협력 외교의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의 성격도 띠고 있다.

한 외교당국자는 “김 대통령과 김 위원장간의 회담에서 특별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많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남북한의 공조와 협력의 장을 확대하고 남북협력에 대한 공동의지를 다지는 기회로서의 의미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또 회의기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과 단독 정상회담을 갖고 남북정상회담 성과를 설명하면서 지원을 당부할 예정이다.

이는 한반도의 평화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한·미·일 3국공조 및 주변4강국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김 대통령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모리 요시로 일본 총리와는 오는 22일 김 대통령의 방일이 예정돼 있어 유엔에서 따로 만나지는 않는다.

이와함께 김 대통령의 이번 방미는 SOFA(미 주둔군 지위협정) 개정 협상 및 매향리 사건 등을 계기로 틈이 벌어진 전통적 한·미 협렵체제를 다시 공고히 하는데도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편 김 대통령은 이번 방미기간 뉴욕증권거래소 이사장,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 골드만 삭스그룹 회장 등 미 경제계의 지도급 인사들과 오찬을 갖고 우리 정부의 경제개혁 의지를 천명하면서 한·미 경제인간 협력기반의 공고화와 우리 경제의 국제 신인도 제고를 위한 노력도 병행할 계획이다.

/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