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지난 10일 민선 4기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조직을 개편하면서 단행한 후임 인사를 놓고 뒷말들이 무성하다.
구리시는 당시 부시장 직속의 정책추진단을 두고 환경자원과와 교통과를 각각 환경과와 자원행정과, 교통행정과와 교통지도과 등으로 분리하며 보건소 산하에 지역보건과를 새로 만드는 등 정원을 654명에서 659명으로 30명을 증원하면서 A씨와 B씨 등 6급 4명과 7급 10명을 포함해 모두 267명을 승진 및 전보하는 후임 인사를 단행했다.
그러나 “시장이 측근들을 대거 승진시켰다”, “모 시의원이 측근을 승진시키는 등 위력을 발휘했다”, “외부 유력 인사들이 인사에 개입하는 등 강한 입김을 작용했다” 등 이런저런 애기들이 나오고 있다.물론 구리시는 언제나 그래왔듯 인사 후유증이라고 일축했다.
구리시 관계자는 “업무의 연속성 등을 감안, 업무수행 능력과 시정 기여도 등을 충분히 고려해 인사를 했다”고 밝혔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인사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인사는 인사권자의 고유 권한이다. 따라서 인사권자의 복합적인 판단과 재량 또한 존중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자칫 공직을 형해화하고 조직의 화합을 요원하게 하며 공직자들의 사기진작 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한번쯤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 공복의 기능이 떨어지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인사가 끝난 뒤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게 마련이다. 흔히 “인사는 만사”라고 한다. 그래서 조직원이 50%만 흡족해도 성공이라고 하는 등 그만큼 어렵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다고 인사과정에 불편부당한 색깔을 입혀선 안 된다. 구리시는 인사의 후유증은 두고 두고 부담으로 남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jhhan@kgib.co.kr
한종화 <제2사회부 구리>제2사회부>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