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하남 일자리 창출 의의

하남시의 지역 고용여건 안정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살리기’가 여느 지자체보다 단연 돋보인다.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인구 15만명도 안되는 소도시인 하남시가 각종 경비를 절감해 100억원을 만든 후 이를 일자리와 지역경제살리기에 나눠 투입하기로 한 것이 독특하다. 특히 시가 내 놓은 ‘공공부분 일자리 사업’은 정부의 문제점(지자체 정원의 2% 및 응시자격 제한 등)을 크게 보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사업은 직장이 없는 만 18~65세의 하남시민만을 채용하고 행정보조와 환경, 건설, 사회복지분야 등 20여개의 다양한 사업(하루 3만2천원 지급)에 투입키로 했다. 게다가 식당과 카센터, 소매업 등 소상공인이 신규 직원을 채용할 경우, 시가 1인당 급여의 50%, 최대 60만원까지 보조하는 소상공인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더욱이 근로계약 시 월급의 60%에 해당하는 금액(50만원)을 현금 대신 하남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카드(기프트카드) 지급을 적극 권장하기로 해 고용창출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도 동시에 꾀할 수 있다는 평가다.

시는 하루 460여명씩 연 고용인원이 11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4만명의 주민가운데 초중고교 학생과 65세 이상되는 주민을 빼고 나면 한 주민당 한 번 이상의 혜택을 누리는 셈이다. 글로벌 경제위기를 맞아 살아남기 위한 각고의 구조조정이 전국 지자체는 물론 일반 기업체 등 모든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다. 구조조정은 경쟁력을 위해 불가피 하지만 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이 많아 가혹하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하남시가 많든 적든 행사성경비와 공무원경비, 경상경비 등을 아껴 지역주민에게 고용창출의 기회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하나라도 더 만들어 주고자 하는 것에서 진한 인간애가 풍긴다. 다만, 선심성이나 일회성이이 아닌 초지일관의 정신이 베어 있을 때 성과는 배가 된다는 사실이다. 김황식 시장과 600여 공직자가 대견해 하남지역이 든든하기만 하다./yhkang@kgib.co.kr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