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장기동에 있는 ‘책방 짙은:’ 대표 최수이씨는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들던 때 9년간 운영하던 미술학원 문을 닫게 됐다. 그 시기에 다시 읽게 된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는 최씨에게 용기를 주기에 충분했다. 자유를 느끼며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하며 2021년 3월 2일 책방 문을 열었다.
‘좋아할수록 짙어지는 공간’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고 용기를 얻은 최씨는 책방 이름을 고민하며 ‘책방 조르바’를 떠올렸다. 그런데 막상 ‘그리스인 조르바’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겐 생소한 이름이었고 조르바를 아는 사람들의 반응도 호불호가 강했다. 그러던 와중에 2019년 발간한 본인의 책 ‘낡아가지만 아름다워서’의 소개글이 떠올랐다.
“책방 이름을 고민하며 이것저것 뒤적이다가 제 책에 저를 소개하며 ‘무엇엔가 빠지면 한껏 짙어진다’고 써둔 것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저는 무엇인가를 좋아하고 몰두하면 끝없이 깊이 빠지고 짙어지는 사람이에요. 책방은 저의 정체성을 담는 곳이니까 ‘좋아할수록 짙어지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짙은:’이라는 이름을 지었습니다.”
‘책방 짙은:’은 주로 시와 그림책, 고전 도서를 들여놓고 있다. 상시 운영하는 독서 모임도 고전 낭독, 시, 그림책, 글쓰기, 커피 등 책과 관련된 것 혹은 다양한 취미를 향유하는 사람들과의 모임 위주로 하고 있으며 박소란 시인의 현대시 강독, 박초월 과학전문 번역가와 함께 과학책 읽기, 사진작가 허윤정의 사진수업, 박수밀의 고전문학 강의, 황진희의 그림책 테라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빙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점에서 진행하는 전시와 북토크는 책방을 찾는 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콘텐츠입니다. 보다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준비해 독자들이 책과 가까워지고 문화적으로도 풍요로워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책을 만들고 창작물을 전시하는 책방
‘책방 짙은:’의 블로그에는 그간 진행한 작가와의 만남이 차곡차곡 정리돼 있다. 서울을 벗어난 서점에서 평소 만나고 싶었던 작가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독자들에게 가장 큰 선물인 듯 “김포에 살고 있는게 너무 좋다” 혹은 “김포로 이사가고 싶다”는 반응이 많다.
“문화공간 역할을 하는 책방이 있다는 것은 동네의 풍요로움을 더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때때로 북토크 신청이 순식간에 마감되는 바람에 더 많은 독자를 모시지 못할 땐 저 역시 많이 아쉬워 벽을 터서 공간을 넓혀야 하나 고민하기도 합니다. 드라마 ‘나의 아저씨’·‘나의 해방일지’의 박해영 작가,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의 박준 시인을 초대했을 때 많은 분들이 좋아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여러 지원사업에 적극 참여하며 독자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 많은 북토크를 제공한 ‘책방 짙은:’은 어느덧 4년 차에 접어들며 ‘책방 짙은:’만의 색깔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책을 팔고 북토크를 기획하고 문화 행사를 준비하는 일은 다른 책방에서도 이뤄지는 보편적인 일이라는 생각에서다.
‘책방 짙은:’의 정체성을 고민하던 중 지난 2년간 ‘창작그룹 짙은:’과 진행해 온 사진수업과 그 결과물로 배출해 낸 독립출판 작가들, 그리고 책방을 갤러리 삼아 전시를 꾸려온 일들이 돌파구가 돼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
“책을 팔고 작가를 만나는 것을 넘어 책을 만드는 책방이 되고 싶어요. 또 창작자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로 책방 공간을 확장하고 싶고요. 요즘은 ‘책방 짙은:’의 4년간 일들과 창작그룹의 작업물을 소개하는 매거진 ‘Creative Route’ 창간호 출간 준비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매거진 제목처럼 ‘책방 짙은:’이 창작자들의 산실이자 그들에게 길을 안내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