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4 (금)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환경기초시설 빅딜 서울시반대로 무산

경기도와 서울시가 환경기초시설을 공동으로 건설, 사용키로 하는 ‘빅딜’을 추진했으나 서울시의 비협조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서울시 내부에서 빅딜자체를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 무산될 위기마저 처했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초 수도권행정협의회를 통해 광명시가 건설할 예정인 쓰레기소각장을 인접지역인 서울시 구로구가 공동으로 사용하고 구로구 가양하수종말처리장을 광명시가 함께 사용하는‘빅딜’을 합의했다.

이는 환경기초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돼 건설에 난항을 겪음에 따라 인접지역간 공동사용을 합의한 것으로 전국 지자체로는 처음이다.

그러나 서울시가 수도권행정협의회 합의사항을 무시한채 현재 광명시의 하수처리만 가능하고 앞으로 더 늘어나게 될 하수처리는 용량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처리를 거부하고 있어 빅딜자체가 난항을 겪고 있다.

서울 구로구는 지난 83년부터 광명시로 부터 하루 10만톤의 하수처리협약을 체결, 유료로 하수를 처리해 오고 있고 현재는 협약안보다 더 많은 하루 12만1천톤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구로구는 서울지역내 각종 개발로 인해 하수처리량이 늘어나 현재 하루 200만톤의 처리용량으로도 부족, 56만톤을 더 증설할 수 밖에 없는 상태에서 현재 처리량외에 추가로 발생하는 광명시의 하수처리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광명시는 아직 56만톤의 증설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점을 감안, 서울시와 수차례에 걸쳐 협의를 했지만 당초 입장을 고집하고 있어 빅딜에 따른 협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 “광명시도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개발로 인구가 증가돼 앞으로 하수발생량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 이를 수용해 줄 것을 서울시에 건의했지만 서울시가 어렵다는 입장만을 고집,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며 “특히 서울시 내부에서 빅딜자체를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 빅딜자체가 무산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