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18 총선에서 낙천·낙선운동으로 정치개혁을 도모했던 시민단체들이 이번에는 직접 정치참여를 선언하고 나서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전국지방자치연대· 참여자치연대 등은 내년 지방선거부터 무소속 출마를 전재로 현재 자체적으로 후보군 물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따라 ㅈ중대선거구제가 모색되고 있는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기존정치권에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4파전 양상을 예고하고 있으며 당공천을 우선시하는 정치판도에도 새로운 색채의 정치신인들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정치권은 물론이고 또다른 시민단체들사이에서는 나름대로 그 의미를 분석하는 한편 시민단체로의 순수성 유지에 대한 논란이일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본부는 내년 지방선거에 경기, 인천지역 주요 도시지역에서 60여명의 기초·광역의원 후보자를 낸다는 계획하에 현재 인물선정작업에 들어갔다.
참여자치연대도 평택·안성 등 경기남부권을 중심으로 10여명의 후보를 낸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한국 YMCA 한 관계자도 공식적인 입장은 아님을 전재로 “지역별로 나름대로의 후보자 물색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발전을 도모해온 전국 지방자치연대는 “지역별로 현재 인물물색작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후보자 선정은 다음달 중순께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며 “경기·인천지역에서는 30여명을 출마시킬 것”이라고 밝혀 내년 지방선거 참여를 구체화하고있다.
특히 정치참여를 선언한 시민단체들은 이와함께 지역내 참신한 인물에 대한 영입작업도 전개하는 한편 올 하반기부터는 자치대학운영 등을 통해 후보자 교육은 물론이고정치적인 역랑을 함양, 내년초부터는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장순범 평택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환경에 대한 분야가 중점 공약사항으로 이 부분에 대한 이미지 홍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시민단체들의 지방선거 참여선언으로 내년 선거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선택의 폭이 제공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같은 시민단체의 정치참여에 대해 논란도 적지않다.
우선 시민단체들 사이에서도 시민단체로서의 순수성을 제기하는 의견이 만만치 않 다.
지방차치연대의 한 관계자는 “시민단체들의 생명은 그 운동 자체의 순수성에 있다” 며 “정치참여는 아직까지 주민들에게 공감을 얻기가 쉬지않은 시기상조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원 경실련의 김희수 부장도 “시민단체들의 정치참여나 중·대선구 도입은 유권자들의 선택의폭을 넓힌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하다”면서도 “그러나 시민단체들 사이에서도 정치참여에 대한 논란은 적지않다”고 밝혔다.
중앙 및 지역정치권도 시민단체들의 정치참여에 대해 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중앙정가의 한 관계자는 “정치는 이상보다는 현실”이라며 “비록 지난 총선에서 시민단체들이 큰 힘을 발휘했다고 하지만 유권자들이 바라는 사항은 정치권 스스로의 개혁이지 시민단체들을 통한 변화는 아니다”고 일축했다.
수원시의회 김용서 의장도 “이미 시민단체들의 정치참여는 보장되어 있음에도 직 접 정치일선에 나서는 것은 순수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선택권을 갖고 있는 유권자들의 의견도 팽팽히 맞서고 있다.
수원시 팔달구 망포동에 사는 조모씨(36)는 “ 불신만이 팽배하고 있는 현 정치권 이 결국은 시민단체들의 정치참여를 유발한 것 아니냐”며 “시민단체들의 정치참여 는 유권자들에게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권선구 권선동의 이모씨(40)는 “시민단체들이 정치권의 개혁을 위해 현실정치에 참여한다면 차라리 창당을 통해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재와 같은 형태의 시민단체 정치 참여는 자칫 유권자들의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며 “시민단체들은 지금이라도 순수성을 유지하며 주민들 곁으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결국 시민단체들의 정치참여 선언으로 인한 순수성 논란은 현재부터 선거당일까지 이어지며 당락을 좌우하는 최대의 잣대가 될 전망이다./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