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문화인] 오산시 지역작가초대전 마친 유귀례 작가

“늦은 나이에 시작한 서예… 덕분에 인생의 의미 찾았죠”

“환갑이 돼서야 처음으로 개인전을 열게 됐는데 저를 비롯한 중장년층이 인생을 멋지고 의미있게 살아가길 바랍니다.”

지난 14일 2019 오산시립미술관 지역작가초대전인 <이음초대전>을 성황리에 마친 다원 유귀례 작가(61)는 소회와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번 초대전은 오산시가 지역작가 발굴 및 향토예술 활성화를 위해 실시한 행사로 유 작가는 올해 초 공모를 통해 지난달 12일부터 한 달여 간 전시를 진행했다. 오산시립미술관 3층 제2전시실에서 열린 전시는 유 작가가 지난 10여년 간 선보인 서예 작품 44점을 중심으로 열렸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가로 55㎝, 세로 45㎝ 규모의 <和顔愛語(화안애어)>(2009)가 손꼽힌다. ‘얼굴은 온화하게, 말은 사랑스럽게’라는 뜻을 담은 이 작품은 올해로 37년째 요식업에 종사하고 있는 유 작가의 모토와도 같다.

남다른 사연을 지닌 <금강반야바라밀경>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 2010년에 완성된 이 작품은 유 작가의 딸인 성희영씨(28)의 수험생 시절과 함께 해왔다. 유 작가는 성씨가 고등학교 1학년생이었던 시절 공부하는 딸과 함께하겠다는 마음, 수험생 자녀를 둔 부모의 마음으로 밤마다 딸이 공부할 때마다 옆에서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써왔다. 성씨가 수험생 생활을 마쳤을 무렵 작품 길이는 가로 11m, 세로 48㎝ 규모에 이르렀다. 작품 중간에는 성씨와 함께 밤을 지새던 유 작가가 졸던 중 실수로 찍어버린 점도 하나 있어 수험생 자녀를 둔 부모의 마음이 관람객에게 그대로 전해졌다.

유 작가는 한문 공부를 시작하면서 자연스레 서예를 접한 지난 2007년을 떠올리며 웃음지었다. 요식업에 종사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냈지만 점심 시간과 퇴근 이후 시간을 활용해 매일 4~5시간씩 꾸준히 글씨를 써왔고 주부들이 흔히 보는 연속극도 뒷전으로 한 덕분에 지금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유 작가는 “늦게서야 시작한 취미가 주위의 격려와 관심으로 개인전으로 이어지게 됐다”라며 “중장년층 모두가 각자의 관심분야를 통해 멋지고 의미있게 살아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