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유권자 1천149만여명 중 경기·인천 16%… 최대 변수
대선 정국이 요동치는 가운데 전국 최대 승부처인 경기도의 중도·무당층 표심이 대선 판도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1대 대통령선거를 불과 한달도 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대법원 파기환송심 첫 공판일이 대선 이후로 연기됐다고 하나 사법리스크는 현재 진행형이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갈등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을 안고 있어, 양측 모두 공히 확고한 지지층 이외의 부동층이 어디로 기울 것인지가 이번 대선의 승부를 가를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6월1일 기준)에서 경기도의 유권자 수는 총 1천149만7천206명으로 전국 유권자 총 4천430만3천449명 중 약 2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지지정당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중도·무당층 비율은 경기·인천이 16%였다. 이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메타보이스가 JTBC 의뢰로 2025년 5월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10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면접으로 조사한 결과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8%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와 관련, 조재목 에이스리서치 대표는 “최근 이어진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경기·인천 지역의 무당층 비율이 강원·제주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경기도 유권자 가운데 투표는 하겠지만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가진 무당층 또는 중간층이 20% 정도 되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유권자 숫자에서 20%를 대입하면 230만명가량으로 인천과 대구의 전체 유권자와 비슷한 규모다.
경기도에서 중도·무당층 비율이 높은 것은 경기도가 수도권 인구 유입의 중심지로, 다양한 지역 출신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유권자들이 혼재된 지역인 데다 20~40대 젊은 층의 비중도 높아 정당보다는 인물과 메시지를 기준으로 표심이 형성되는 경향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반복된 정치 갈등과 리더십 위기는 유권자들에게 피로감을 주며 ‘탈정치화된 중도층’의 확산으로 이어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결국 경기도의 중도·무당층 표심은 이번 대선의 ‘숨은 결정권자’로 자리하고 있다. 양 진영이 각자의 리스크와 과제를 안고 있는 가운데, 확고한 지지층 외에 정치적 피로감과 신중함 사이에서 유보적 태도를 보이는 유권자들의 선택이 진영 대결을 넘어 하나의 균형추로 작용하며 대선의 향방을 결정지을 가능성이 높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날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당보다 인물, 이념보다 안정감을 우선시하는 경기도 유권자들의 특성상, 막판까지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않는 중도층의 선택이 선거 결과를 뒤흔들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