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4 (금)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집단이기주의 BC카드 분쟁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조정문제를 둘러싼 파문이 점점 확산돼가고 있어 BC카드를 제때 사용못하는 등 소비자들만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더구나 BC카드의 대주주인 시중은행들이 백화점의 ‘BC카드 취급거부’에 맞서 ‘지로 및 현금자동이체 거부’를 선언하고 나서 사태가 점점 심각해져가고 있다.

조흥은행 등 6개 BC카드 회원은행들이 롯데, 현대, 신세계백화점에 공문을 보내 ‘BC카드취급거부’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이들 백화점의 지로 수납 및 현금자동이체를 중단하겠다고 통보한 것이다.

이에 대해 백화점업계측은 현재 3%인 가맹점 수수료가 2%로 인하되면 30%가량의 비용절감 효과가 생겨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간 매출액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7% 수준인데 카드 수수료가 매출액의 3%에 이르는 것은 비정상적이라는 것이다.

반면 카드업계측은 수수료 인하로 카드사 수입이 줄어들 경우 일반 회원들이 많이 이용하는 현금서비스 이자나 할부구매 수수료에 인상요인이 생겨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 BC카드사용 거부운동은 백화점 카드사용 확대를 위한 계책이라고 맞서고 있다. 현재 평균 수수료와 원가의 차이가 0.08%에 불과해 추가로 인하해 주면 역마진이 생긴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백화점 및 일부 대형외식업체와 카드업계측간의 이같은 수수료 분쟁은 소비자를 볼모로 잡은 집단이기주의의 싸움이다. 저마다 ‘소비자’를 위해서라는 명분을 내걸지만 이번 사태의 본질은 카드매출로 발생하는 제한된 마진을 놓고 카드사와 가맹점측이 각자 잇속을 챙기기 위해 소비자를 볼모로한 힘겨루기에 지나지 않은 것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가맹점 수수료를 포함해 할부 및 일시불구매, 현금서비스 등 신용카드의 각종 수수료 원가를 체계적으로 따져보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특히 어떤 경우든 두 사업체가 적당히 합의해 소비자에게 피해를 돌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만일 원만한 해결책이 도출되지 않고 장기화된다면 금융감독원이 강력한 감독권을 발동, 소비자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