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3 (목)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농사용 전기요금을 인상?

전국을 강타한 태풍 ‘루사’로 인해 농촌이 대재앙속에서 허덕이고 있는데 농사용전기료 인상문제가 아직도 제기되고 있다니 딱하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산업자원부의 용역을 받아 마련한 ‘전기요금체계 개편방안’은 시의도 적절치 못할 뿐 아니라 그러잖아도 팽배한 농촌의 불만을 가중시키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세계무역기구(WTO) 협상,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중국산 마늘 파문 등으로 농업·농촌의 여건이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서 그나마 농업인들에게 주어지던 혜택마저 없애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농업부문에 대한 무차별적인 시장경제 원리의 적용은 농업과 농촌의 설 자리를 잃게하는 것으로 이번 개편안은 신중히 처리해야 옳다.

만일 이번에 발표된 방안대로 시행된다면 농업인들의 영농비용이 크게 증가해 농업의 경쟁력 확보는 더욱 어려워질 게 분명하다. 농사용 요금은 농업의 진흥을 위해 설정된 것인데 이를 단순히 시장원리에 맞추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다. 전기요금 인상은 농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유통시설에 대한 비용 증가를 가져와 유통 선진화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 특히 농사용요금사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병종(밭작물·축산·양어장)이 농사용 적용대상에 제외됨으로써 농업인들의 부담은 더욱 크게 증가할 것이다.

또 산업용이지만 농사용 병으로 특례적용을 받아온 저온저장고와 미곡종합처리장 건조시설의 경우 운영비 가운데 전기요금의 비중이 20∼50%로 커 관련업계의 피해가 크다. 농산물 과잉시대를 맞아 저온저장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는데 저온저장고가 농사용으로 적용받지 않으면 저장업계의 도산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그 피해는 생산농업인은 물론 물가상승으로 결국소비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다.

주택용 요금의 누진제를 완화하는 방안도 전력 소비량이 적을 경우에는 오히려 요금 증가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전력소비가 적은 농업인 등 저소득층에게는 불이익이 될 수도 있다. 또 지역별 차등요금제도 농촌지역의 경우 배전회사들이 공급을 기피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요금을 부담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오는 2009년까지 요금을 매년 10%씩 단계적으로 인상한다는 ‘전기요금체계 개편방안’은 타당치 못하다. 전체 농가가 2배이상 늘어난 추가 영농비를 부담하게 되므로 400만 농업인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힐 것이다. 전기요금 인상계획은 백지화해야 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