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 트위터 열풍
“140자의 파괴력.”
트위터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의 1등 공신으로 주목받았으며, 국내에서는 피겨여왕 김연아 선수가 가입하며 팔로어만 8만여명에 달하는 등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대표적인 양방향 소통 창구다.
지난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홈페이지와 블로그, 미니홈피 등을 개설하며 유권자와의 접촉을 넓혔던 기존 또는 신인 정치인들은 이제 트위터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무료 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는 사용자가 140자의 짧은 메시지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하고 그 내용을 또 다른 팔로어에게 재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돼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인터넷 없이도 트위터를 이용할 수 있어 정치인들의 메시지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일반인에게 전파될 수 있는 만큼 매력적인 소통 창구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트위터 스타로 통하는 진보신당 노회찬 대표는 2만7천여명, 심상정 전 대표는 1만2천700여명, 민주당 정동영 의원 8천여명, 한나라당 나경원 2천여명 등의 팔로어를 거느리는 트위터 얼리 어댑터 정치인들이다.
특히 트위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유권자와 접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양방향 소통 공간으로 이번 6·2 지방선거에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정당 또는 후보자들에게 유권자와의 직접 만남을 주선하는 매개체가 될 전망이다.
트위터 활동에 나서고 있는 A도의원은 “도지사 또는 기초단체장보다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광역·기초의원들에게 트위터는 유권자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이번 선거에서 트위터는 그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확신하며, 그 시험 무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트위터도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현재 국내 트위터 가입자는 12만명에 불과하며, 수도권을 제외한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서는 유권자에게 생소한 매체로 인식, 활용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선관위가 지난 12일 뒤늦게 트위터를 이메일로 규정하는 한편 ▲입후보 예정자 및 그의 가족을 비방하거나 허위사실을 공표하는 행위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19세 미만 자의 특정 정당 또는 후보자를 지지·반대하는 행위 ▲예비후보자의 운동정보를 돌려보는 행위 ▲정당 또는 후보자 등이 투표 독려 내용을 게시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는 엄격한 규정을 적용, 트위터 활동이 위축될 위기도 맞고 있다.
선관위 관계자는 “트위터가 후보자에 대한 정보 교류와 선거에 관한 관심 제고 등 매체로서의 순기능을 지니고 있지만 사전선거운동과 후보자 간 상호 비방전의 중심에 설 수 있는 만큼 엄격한 제재 조치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