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6 (일)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인천시 자전거 관련 사업 ‘백지화’

올 전용도로 개설 7곳 추경예산 전액 삭감키로 

자전거 교육 규모 줄이고 ‘바이크축제’는 취소

인천시가 그동안 교통 정체를 유발, 시민들로부터 지탄받아온 자전거전용도로를 비롯해 도심형 자전거 보급 등 자전거 관련 사업들을 모두 백지화했다.

 

1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13년까지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율을 7%까지 끌어 올리기 위해 1천985억원을 들여 자전거전용도로 805㎞를 개설하고 자전거 이용 활성화방안으로 오는 2014년까지 150억원을 들여 출·퇴근용 도심형 자전거 15만대를 생산·보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는 올해 70억원을 투입해 자전거 도로 및 이용시설 시청권역 2곳, 연수권역 2곳, 부평권역 3곳 등을 조성할 예정이었으나 관련 예산 전액을 다음달 제186회 시의회 정례회에 올릴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이미 진행된 용역비(2억1천300만원)을 제외하고 모두 삭감키로 결정했다.

 

당장 자전거전용도로를 개설해도 이용하는 시민들이 적어 예산에 비해 사업효과가 떨어지고 되레 차로 축소로 교통 체증과 주차난 등이 심화되는 등 시민들의 불편만 가중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시는 특히 일반 구입자와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고 시민사회 반발이 예상되는 접이식 자전거인 도심형 자전거 2만대 보급을 위한 예산 22억3천400만원도 전액 삭감키로 했다.

 

이와 함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던 바이크축제와 자전거 교육 관련 예산 8억3천300만원과 관련, 바이크축제는 취소하고 교육은 규모를 줄여 진행하기로 하고 사업비 대부분을 없앴다.

 

김송원 경실련 사무처장은 “자전거 관련 사업은 장기적으로 기후 변화 등과 맞물려 꼭 필요하지만, 정책과정에서 시민사회와 전혀 의견 수렴 없이 추진돼 예산 낭비의 대표적 사례였다”며 “시가 각종 정책들을 점검하고 결정할 때 시민들과 ‘소통’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이번 추경예산에서 삭감돼 내년부터는 사실상 신규 사업으로 분류되는만큼 사실상 자전거전용도로 관련 사업의 백지화”라며 “마무리 단계인 자전거 이용시설 설계 용역 등을 토대로 장기적으로 자전거 활성화방안 등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