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도시숲 조성사업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한다. 5일 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도시 숲 기능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시 숲이 있는 곳은 없는 곳 보다 피톤치드와 음이온의 방산량은 높고, 온도 및 환경소음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난해 5~10월 자유공원과 수봉근린공원, 청량산산림휴양공원, 송도해돋이공원, 중앙근린공원, 함봉근린공원, 계양근린공원, 청라호수공원 등 도시 숲 8곳을 대상으로 ‘도시 숲 기능성 조사’를 했다. 연구원은 1개월 마다 피톤치드 8종과 음이온, 환경소음도, 온·습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 도시 숲 8곳의 피톤치드 평균 농도는 259pptv로 없는 곳의 84pptv보다 3.1배 높았다. 또 도시 숲이 있는 곳의 온·습도는 평균 2.9℃ 낮고, 습도는 12.3% 높아 도심의 열 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니티닜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부터 ‘인천시 도시숲 조성사업 계획’을 마련하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곳곳에 도시 숲을 마련하고 있다. 13곳 17.68㏊ 규모의 도시바람길 숲과 25곳 42.05㏊의 기후대응 도시 숲 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자녀안심 그린숲 조성사업을 통해 중구 중산초등학교와 하늘초등학교, 서구 가원초등학교와 공촌초등학교 등굣길 4곳에 생활밀착형 도시숲을 마련하고 있다. 이어 시는 올해 지역의 7곳 학교에 수목을 심고, 야생원과 자연학습공간을 갖춘 학교 숲을 조성하는 등 소규모 녹지 공간을 늘려 나간다. 이 밖에도 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명품 가로숲길을 조성하는 데 힘을 쏟을 방침이다. 가로수 위험성평가 진단을 통해 가로수의 안정성을 파악하고, 예측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한다. 시는 오는 6월까지 위험성평가 진단을 마무리하고 안전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최도수 시 도시재생녹지국장은 “도시 숲은 미세먼지, 폭염 등으로부터 인간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현대인의 우울감을 낮추는 정서적 효과도 있다”고 했다. 이어 “더 많은 시민이 주변의 숲에서 위안과 안식을 얻을 수 있도록 생활권 도시숲 확충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했다.
인천뉴스
김지혜 기자
2023-02-05 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