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14 (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집행부 감시·견제 역할은 ‘뒷전’… 지역구 챙기기만 급한 인천시의회

8대시의회 출범후 3차례 시정질문
58개 중 51개 민주당 의원이 질의
일부 의원은 민원성 질문만 반복
野·같은 당내서도 비판의 목소리

인천시의회의 절대다수를 차지한 더불어민주당이 집행부 감시·견제 역할은 외면한 채 지역구 민원 챙기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1일 지역 정가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제8대 시의회 출범 이후 3차례(2018년 8월·11월, 2019년 3월)이뤄진 시정질문 58개 중 51개를 민주당 의원들이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하지만, 총 시의원 37명 중 34명을 차지한 민주당 의원들은 같은 당 소속인 박남춘 시장 취임 이후 논란이 됐던 정무직 인사와 도시재생 뉴딜과 2청사 조성사업의 부진 등에 대한 질문은 단 1건도 하지 않았다.

박 시장 취임 후 개방형 직위와 시 산하 공공기관 이사장에 정무직 임명 등을 놓고 인사논란은 끊이지 않았지만, 이에 대한 시정 질의나 지적은 없었다.

또 시의 역점 사업인 원도심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진행률이 20%도 안되는 등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원도심 지역구 의원들은 관심은 찾아볼 수 없다.

이와 함께 루원시티 2청사 조성 사업도 이전할 공공기관 선정도 못 하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시의회 차원의 질의나 대책 요구 등도 나오지 않았다.

시의회는 이처럼 주요 현안에 대한 감시·견제는 뒤로한 채, 지역구 민원 챙기기에 열을 올렸다.

총 시정질의 58개 중 35개(60%)가 민원성이다.

특히 민주당 소속 A,B 의원 등은 똑같은 내용의 지역 민원성 시정질문을 2~4차례 반복해, 노골적인 지역구 챙기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A의원은 지난해 8월 1차 시정질문에서 지역구 주민의 숙원 사업인 특정 개발 사업에 대한 박 시장의 추진 의지를 물은데 이어, 지난해 9월, 12월 5분 발언과 27일 3차 시정질문에서도 재차 질문하는 등 총 4차례 걸쳐 박 시장을 압박했다.

B의원도 지난해 11월 지역구 민원인 특정 주거시설 이전 문제를 질의한데 이어, 지난 27일에는 질의 제목만 바꿔 반복 시정질문을 했다.

이 같은 지역 민원 챙기기 의정질의에 대해 야당뿐만 아니라 민주당 내에서도 비판의 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소속의 C의원은 “같은 당 소속이지만 박 시장에 대해 견제 목소리를 내야 할 다선 중진 의원들이 제 욕심(지역민원) 챙기기 바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사무총장은 “시의회는 시정부와 긴장감 유지를 통해 감시·견제 기능을 충실히 해야 한다”라며”노골적인 지역구 챙기기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기적인 의정 활동으로 간주한다”며 “지역구 민원은 충분한 연구와 의견 수렴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