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구가 수십억원 규모의 청사 증축을 추진하면서 ‘혈세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10개 군·구 중 재정자주도가 최하위인데다 인구 50만 명 이상의 다른 기초자치단체와 비교해도 청사공간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부평구는 이미 행정안전부의 청사 기준 면적보다 넓은 상태라 증축보다는 기존 공간을 활용한 리모델링이 효율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21일 구 등에 따르면 구는 총 사업비 75억원을 들여 2021년 12월까지 부평구 부평대로 168에 지상 5층(증축 면적 2천526.87㎡) 규모로 청사 증축을 추진한다. 청사에는 사무실 6곳과 회의실 2곳, 문서고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구는 기존 청사 내 공간이 부족해 직원과 민원인을 위해 증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구의 재정상황을 고려했을 때 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평구의 올해 기준 재정자주도는 인천 10개 군·구 중 9위로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재정자주도란 전체 세입에서 사용처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집행할 수 있는 재원이다. 지자체가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또 업무공간이 부족하다는 구의 설명과 달리 인구 50만 명이 넘는 서·남동구와 비교해도 청사 증축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구 청사는 연면적 기준 3만1천㎡에 직원 784명(의회 직원제외)이 근무하고 있다. 반면 서구는 본관·제2청사 총 연면적 2만8천㎡에 직원 750명이 일하고 있다. 남동구도 본관·별관 총 연면적 2만8천㎡에 678명이 근무하고 있다.
특히 부평구는 행안부의 인구 50만명 이상 광역시의 자치구 청사 기준인 1만8천206㎡(주차장·의회 제외)를 이미 초과한 상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구가 리모델링 등을 통한 청사 공간 활용 방안 대신 불필요한 증축으로 공무원 편의만 생각한다는 비판 여론이 나온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재정자주도가 낮은 부평구가 코로나19 시국에 공무원의 편의만을 위해 건물을 짓는다면 다수의 시민이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공무원 편의만 생각하지 말고 구민의 의견을 청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구청 1층 로비를 보면 불필요한 설계로 죽은 공간이 상당히 많다”며 “구에서 청사 증축에 대한 필요성을 분명하게 내놓아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부평구 관계자는 “1996년 청사 건립 당시보다 현재 직원이 30~40% 늘었다”며 “앞으로 행정수요가 계속 늘것이고, 직원들 업무공간도 많이 부족해 증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서구도 별관이 있고, 다른 지자체도 별관을 증축 중이거나 계획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구의회에서도 반대 의견은 거의 없었다”고 했다.
강정규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