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5 (토)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심평원, 2019년 경기 지역 다빈도 질병 통계 분석

다빈도 질병 우수의료기관 128곳… 도민 지킴이
입원 위장·결장염, 외래 급성기관지염 많아
아주대학교병원·분당서울대학교병원 등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 서비스 제공
비급여 진료비·응급실 현황 등 조회 가능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9년 1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진료비심사 결정분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경기도민들은 위장염결장염으로 입원치료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별 유형과 대처 방법, 그리고 질병별 도내 우수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통해 도민들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질병이 발생했을 경우 효율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도내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등의 우수기관과 양호기관을 소개한다.

■ 위장·결장염 입원환자 6만9천694명… 20개 질병 중 1위

경기도 소재의 의료기관에서 도민들은 입원의 경우 위장염·결장염, 외래는 급성 기관지염을 제일 많이 진료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받은 환자 수 기준으로 입원·외래분야로 질병 순위를 산출한 ‘2019년 경기 지역 다빈도 질병 통계’를 분석했다. 이에 위암과 대장암에 관련 있는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이 입원 분야로 가장 많이 겪는 질병이었다.

통계에 따르면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의 환자 수는 6만9천694명으로 20개 질병 중 1위였으며 1인당 평균 진료비는 75만4천605원을 기록했다. 이어 ‘기타 추간판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6만688명으로 두 번째로 많은 다빈도 질병이며, 5만4천528명의 환자가 앓은 ‘노년백내장’이 3위를 기록했다. 1인당 진료비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G30.-+)’가 1천209만9천471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들었다. 이어 ‘뇌색경증’이 1천101만319원으로 비쌌다.

■ 외래환자 ‘급성 기관지염’ 424만4천45명 최다

지난해 도민들이 입원을 하지 않고 병원에 다니며 치료를 받은 외래분야 질병의 경우 ‘급성 기관지염’이 424만4천45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416만1천729명,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197만4천788명, ‘치아우식’ 160만1천686명,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153만7천59명으로 상위를 차지했다.

외래분야 중 내원일수가 가장 많은 질병도 1위가 ‘급성 기관지염’(1천529만4천948일)이었다. 이어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983만1천574일,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833만4천125일로 많았다. 1인당 평균 진료비는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이 14만2천428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들었고, ‘등통증’이 13만8천459원,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이 12만4천530원으로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 믿고 이용할 수 있는 우수의료기관 정보 제공

경기 지역 다빈도 질병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연계해 분석한 결과, 도내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에서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아주대학교병원이 두각을 나타냈다.

본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이 같은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위암, 대장암, 폐렴, 급성기 뇌졸중, 관상동맥우회술 등 항목 평가에서 도내 다빈도 질병 우수의료기관은 총 128곳으로 나타났다. 평가항목별로 살펴보면 위암은 21곳, 대장암 20곳, 폐렴 43곳, 급성기 뇌졸중 30곳, 관상동맥우회술 14곳으로 집계됐다.

관련 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는 의료 질 평가 결과(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1등급·양호 기관, 난임시술·응급의료·재활·전문병원 지정 기관)를 기반으로 지역 주민이 믿고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 의료정보 >지역의료정보 >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를 참고하면 된다. 또 질환별 및 의료기관별 분야 선택을 통해 분야별 평가결과 우수기관, 비급여 진료비, 의료자원 현황, 주소, 응급실 운영 여부 등 조회가 가능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경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경

강현숙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