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14 (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인천시민 경기도로 이사가며 인구 빠르게 감소

인천 내 원도심에서 신도시로 인구 이동

인천의 인구가 지난 3년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더욱이 원도심 주민이 신도시로 옮겨가는 등 불균형도 심화하고 있다.

27일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후 인천지역 인구 이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천은 지난 2005~2016년 14만1천477명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12년간 인구 순유입은 전국 7대 특·광역시 중 인천이 유일하다. 인천은 송도·청라·영종 등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개발 이후 순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에서 약 17만1천명이 인천으로 이사 오며 인천의 인구 유입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부산에서 1만2천233명, 전라남도 1만69명, 대구 9천563명, 전라북도 9천437명 등의 순이다.

대신 인천시민 중 3만9천명이 경기도로 이사를 갔다. 충청남도와 충청북도 등으로 각각 3만1천명, 9천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하지만 유입인구가 1천703명에 그친 지난 2016~2019년 3년간은 순유출을 기록하며 인천의 사회적 인구가 빠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인천 내 인구이동은 원도심에서 인구가 빠져나와 신도시로 옮겨가는 추세가 뚜렷하다. 동구와 미추홀구, 부평구, 계양구 등 원도심에서 인구 순유출이 발생했다. 부평구의 인구 순유출은 8만2천3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계양구 5만6천552명, 미추홀구 3만9천933명, 동구 1만830명 등이다. 반면 IFEZ가 있는 중구·연수구·서구와 대규모 개발 사업이 많은 남동구는 인구 순유입 지역이다. 이중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연수구로 3만5천927명이, 청라국제도시가 있는 서구엔 7만9천201명이 들어왔다. 남동구는 5만4천845명이 이사왔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인천 내 인구 이동을 더욱 촉진했다는 분석이다. IFEZ의 인구 순유입 중 61%가 인천 내부 이동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원도심의 인구 순유출 중 71.1%가 인천 내부 이동이다. 특히 원도심의 인구 유출은 대부분 연수구와 서구 등 경제자유구역과 남동구로 이뤄진 상태다.

이왕기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구이동에 따른 순유출과 불균형 심화에 대비해야 한다”며 “지역별, 세대별 인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인천시의회와 인천연구원은 시의회 본관 중앙홀과 별관회의실에서 정책소통 토론회를 했다.

이승욱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