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4 (금)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인천 표심이 곧 대선 ‘당선’…“인천 현안 해결 공약 필수”

20대 선거 제외, 7차례 대선 인천이 승패 갈라
전략적 요충지… ‘정치 풍향계’ 역할 자리 잡아
“구체적 공약·실천 계획 있어야 표심 잡을 것”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알리는 전광판을 설치해 있다. 경기일보DB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알리는 전광판을 설치해 있다. 경기일보DB

 

오는 6월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인천이 후보들의 ‘전략적 요충지’로 떠오르고 있다. 인천은 대선 직선제 이후 지난 20대 선거 1차례를 제외하고 모두 최다 득표자와 당선자가 일치, 사실상 인천의 표심이 곧 대선의 승패를 가늠하는 바로미터이기 때문이다.

 

15일 인천선거관리위원회와 정가 등에 따르면 지난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치러진 13대(노태우), 14대(김영삼), 15대(김대중), 16대(노무현), 17대(이명박), 18대(박근혜), 19대(문재인) 등 7차례 대선에서 인천의 최다 득표자가 당선했다. 사실상 인천에서 가장 많은 민의(民意)를 얻은 후보자가 대통령에 뽑힌 셈이다.

 

특히 18대 대선에서 인천은 박근혜(51.5%)와 문재인(48%)의 전국 득표율과 소수점 1자리까지 일치하며 ‘전국 선거 결과의 축소판’임을 입증했다. 다만, 20대 대선에서 인천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8.91%의 득표율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47.05%)를 앞섰지만, 전국적으로는 윤 후보가 0.73%포인트 차이로 승리하기도 했다.

 

이처럼 인천의 표심은 그동안 대선은 물론 국회의원 선거(총선)와 지방선거 때마다 정국 상황에 따라 요동치며 전국 득표율이나 정치 지형과 비슷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띠는 등 ‘정치 풍향계’로 자리 잡았다.

 

이 같은 인천의 특징 탓에 주요 정당 지도부는 유권자 수가 서울·경기에 비해 적은데도, 선거 때마다 여러차례 인천을 찾아 표심 잡기에 집중하는 등 전략적 요충지로 꼽혀왔다. 21대 대통령선거의 전국 유권자 수(지난 3월 말 기준)는 4천436만611명이며, 인천의 유권자 수는 261만6천214명으로 전국의 5.89%를 차지한다.

 

21대 대선에서도 이 같은 인천의 전국 표심 바로미터 양상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민주당의 이 후보가 인천 계양을 선거구의 현역 국회의원인데다, 국민의힘에선 유정복 인천시장까지 대선 후보로 나서면서 인천시민의 이번 대선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안팎에선 대선 후보들이 단순한 지지 호소가 아닌,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지역 공약 등을 제시해야 인천의 표심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박상병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교수는 “수도권 민심은 인천이 그 잣대”라며 “인천에서 여러 대선 후보가 나온 만큼, 앞으로 인천이 정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을 겨냥한 주요 공약들이 역대 그 어느 때보다 힘을 받을 것”이라며 “대선 후보들은 인천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비전과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내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