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지하수에서 비소와 카드뮴 등 중금속이 수질 기준을 초과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오염도가 높은 지하수 지역으로 지목됐다.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22년 지하수 오염물질 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51개 기초지자체 지하수에서 중금속 등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이 가운데 상당수 지역의 지하수가 공업용수로도 부적합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023년 실시한 2천개 관정 대상의 표본조사에서는 1천237건(61.9%)이 음용수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석포제련소가 위치한 경북 봉화군에서는 15회 지하수 수질 검사 중 8차례에서 비소가 기준을 초과했다.
대구지방환경청이 관내 33곳의 관정에서 채취한 지하수 시료를 분석한 결과, 카드뮴은 공업용수 기준치인 0.02mg/ℓ를 최대 3만 배 이상 초과한 0.28∼753mg/ℓ 수준으로 검출됐다. 같은 조사에서 수은, 납, 크롬 등도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확인됐다.
한국환경공단이 2022년 실시한 조사에서도 석포면 일대 지하수에서는 비소가 최대 0.283㎎/ℓ, 불소는 최대 3.001㎎/ℓ까지 검출돼 수질 기준을 넘어섰다. 이 지역에는 제련소 외에도 폐광산이 위치해 있어 복합적인 오염 요인이 지적된다.
석포면 인근 소천면에서도 고농도의 불소가 확인돼 음용 제한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일부 지점에서는 비소 농도 역시 기준을 초과했다. 환경부는 해당 지역을 지하수오염지역으로 선정하고 정밀 조사 및 관리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2019년 폐수 무단 배출과 무허가 배관 설치로 물환경보전법 위반이 적발돼 58일간 조업이 중단된 바 있다. 이후에도 오염 논란은 지속됐으며, 2023년 말에는 비소 중독으로 노동자 4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석포제련소의 폐쇄 또는 이전을 요구하는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지난 3월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 공동 주최로 ‘석포제련소 폐쇄·이전과 정의로운 전환 방안 모색’ 토론회가 열렸고, 정부 주도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환경운동연합, 낙동강 네트워크 등 시민단체들도 지난 18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석포제련소 이전, 시민감시단 제도 도입, 정부 차원의 대응 기구 구성을 대선 공약에 포함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석포제련소 외에도 전국 산업단지 인근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전북 익산, 인천 부평, 경북 구미, 부산 사상, 청주 송정동 등에서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2022년 서울 지역 유출지하수 140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이 중 14곳에서는 과불화화합물(PFAS)이 기준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선 의원은 “지하수는 국민 건강뿐 아니라 농업과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원”이라며 “석포제련소 인근의 비소 오염은 지속적인 감시와 조사가 필요한 사안으로, 정부 차원의 조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