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가 21세기를 맞이하여 무려 163억원을 들여 야심적으로 계획, 도내 미사리에서 개최중인 99 하남국제환경박람회가 말썽많은 박람회가 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박람회 관련 임직원들이 부실한 행사준비와 각종 비리의혹으로 조사를 받고 있는가 하면 박람회 자체에 대한 구성이 환경박람회의 취지와는 다르게 되어 있어 이런 박람회가 왜 개최되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까지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관람객이 모자라 적자가 많다고 초·중·고생들을 단체로 관람케하여 달라는 공문을 일선학교나 교육청에 보내는가 하면 통반장들에게 입장권을 강제로 강매하고, 심지어 도 공무원까지 관람객으로 동원하는 사태가 벌어져 더욱 말썽이 되고 있다. 때문에 국제환경박람회를 통하여 하남시의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시의 의도와는 달리 하남시는 상처투성이가 되고 있으며, 나아가 한국의 환경 이미지조차 추락시켜 환경박람회가 오히려 반(反) 환경박람회가 되지않을까 우려된다.
이런 엉터리 환경박람회가 개최된 것은 하남시의 문제만은 아니다.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막대한 국고를 환경박람회 개최에 지원하였다. 사실 국제적인 규모의 환경박람회를 일개 지방자치단체가, 그것도 기초자치단체가 준비한다는 것은 처음부터 문제의 소지가 있다. 환경부는 초기부터 단순한 예산지원이 아니라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행사준비에 참여했어야 했다. 이제 와서 박람회 조직위 관계자의 비리의혹 등등을 내세우면서 조사나 하겠다는 자세는 환경부의 책임회피이다.
더 이상 환경박람회가 반환경박람회가 되지 않기 위하여 하남시와 환경부는 먹거리 장터를 방불케하는 박람회 환경정리를 해야 된다. 관람객이 부족하여 적자가 난다고 무리하게 기간을 연장하기 보다는 경기도나 하남시가 이번 환경박람회로 인하여 오히려 반환경적 지방자치단체로 낙인찍히는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수습책을 세워, 그나마 뒷마무리라도 잘 해야 되지않겠는가.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