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대선 자금의 횡령 및 배달사고는 능히 예견됐던 것으로 언제나 의문의 대상이었다.
자금 자체가 불법이므로 중간에서 누가 일부를 가로챈다 해도 내부적으로 문제 삼기가 어려운 게 불법선거자금의 속성인 것이다.
이는 국회의원 같은 선거에서도 과거에 그랬고 앞으로 있을 총선에서도 역시 되풀이 될 수 있는 고질적 악폐다. 흔히 국회의원 선거에 수십억원이 든다 하지만 막상 밑바닥까지 쓰인 돈이 절반만 침투되어도 제대로 썼다할 수 있는 것이 통상례로 안다. 이른바 조직이라는 내부에서 한단계씩 자금이 내려갈 때마다 칼질당해 흔적조차 없이 사라지는 수도 없지 않은 것으로 듣고 있다.
불법 대선자금 유용은 국회의원 선거와 또 달라서 자금 유입이 다양하고 자금 규모가 막대한 점에서 유용액 또한 엄청난 것으로 짐작하기가 어렵지 않다.
대선을 치르면서 외국에 빌딩까지 살만큼 축재한 정치인이 있다는 말까지 나왔었다. 검찰이 대선자금 유용 정치인 10여명에 대해 벌이는 계좌추적은 이 점에서 추이가 무척 주목된다. 대선자금 유용 정치인은 ‘도둑은 시끄러운 장을 좋아한다’는 속담처럼 불법자금 거래가 잦고 또 많으면 많을수록이 더 좋아했을 게 틀림이 없다.
물론 대통령 선거에 들어가는 돈이 많은 이유도 있지만 불법자금 유용을 탐내어 불법자금 조성을 일삼은 사례 또한 없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불법자금의 숙주가 없으면 이에 기생하는 불법자금도 없어지긴 한다.
하지만 반대로 숙주를 없애기 위해선 여기 저기에 빌붙는 기생충부터 박멸할 필요가 없지 않는 것이 바로 불법 선거자금이다. 유용을 탐하여 불법자금에 혈안이 되는 정치인을 박멸해야 할 이유가 이래서 성립되는 것이다.
불법 선거자금은 대선은 물론이고 국회의원 등 각급 선거 역시 척결해야 할 정치개혁의 과제다. 지난 대선자금을 틈타 불법 유용을 탐한 정치인이 어찌 10여명 뿐이겠는가 하는 생각을 갖는다. 밝혀보면 더 있을 것으로 안다. 이번 검찰수사에서 도둑 돈을 노려 치부한 정치인들 또한 엄단해야 하는 것이 사회정의다.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있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