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14 (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도내 ADHD 아동들…“낙인 두려워 치료 무섭다”

道 진료비 등 지원불구 기피“방치땐  우울증 올 수 있어”

경기도가 도내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진료 및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사회적 낙인과 불이익 등으로 인해 상당수의 부모들이 병원치료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도에 따르면 도는 어린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지난해 도교육청과 함께 도내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2만5천879명을 대상으로 ADHD 검진을 실시했다.

 

조사에 응한 초등학생 9만2천331명 중 1만353명(11.2%)이 ADHD가 의심되는 관심군으로 분류됐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2차 조사 결과 1천573명이 병원 진단을 요하는 주고위험군으로 판정됐다.

 

도는 이들을 의료기관으로 연계한 뒤 진료비와 치료비를 1인당 최고 30만원까지 지원했지만 실제 비용을 청구한 이들은 66%인 1천41명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이를 두고 아직까지 ADHD에 대한 인식부족과 함께 정신과 진료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거부감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ADHD 진료를 받으면 정신질환을 뜻하는 ‘F코드’로 분류돼 진단서에 기록되며 대부분의 민간보험사는 보험가입 및 보상 제한 등에 차별을 두고 있다는 점도 부모들의 치료기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광역정신보건센터 관계자는 “요즘은 많은 부모들이 어린이보험에 가입하기 때문에 치료를 받을 경우 불이익이 생기지 않는지 센터로 자주 문의를 해온다”며 “하지만 방치할 경우 성인기 우울증·불안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도는 오는 4~5월 시·군 정신보건센터를 통해 학부모들 대상 아동정신건강 관련 강좌를 실시하고, ADHD 고위험군 발생이 상대적으로 많은 취약계층에게 인식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