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본격화 주변 상권 타격 불가피
LH 본사의 경남 진주 이전 확정에 따라 공기업의 지방 이전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성남시 지역경제도 먹구름이 드리우게 됐다.
LH를 비롯해 성남지역 5개 공기업의 이전이 본격화되면 세수 감소는 물론 지역 상권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직격탄은 주변 상권에 가장 먼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LH 본사 인근 미금역세권 식당주들로 구성된 분당까치마을음식점협회 신영천 회장은 “엄청난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LH는 물론 한국가스공사, KPS까지 이전하고 나면 음식점 매출의 3분의 2가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분당지역 상권은 예전 삼성물산 이전 당시 학습효과가 있어 앞으로 공기업 이전에 따른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물산이 2002년 삼성플라자(현 AK플라자)에 입주한 이후 주변 상권이 호황을 누렸지만, 2008년 서울 서초동으로 이전하면서 지역상권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용중 성남상공회의소 사무국장은 “직접적인 세수 감소는 물론 지역 상권에 주는 영향이 클뿐더러 공공기관 입주로 인한 도시 위상과 이미지에도 큰 손실이 예상된다”며 “국가정책적으로 이전이 불가피하다면 그에 상응하고 도시 브랜드에 맞는 기업체 유치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장 세수 감소가 예상되는 성남시 역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정부 시책이라서 (기초자치단체가) 어찌할 수 없지 않으냐”면서 “다만 공동화되지 않고 그 규모 이상의 업무·상업시설이 들어올 수 있도록 노력하면 전화위복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