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영 김포시의원 “한강하구·대명항 등 생태계 훼손” 5분 발언서 촉구
한국수력원자력㈜의 인천만조력발전소 건립에 김포지역을 비롯해 인천광역시, 강화·옹진군 어민들의 반발이 수년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김포시의회 정하영 의원이 김포시에 단호한 반대입장 표시를 촉구하고 나섰다.
정 의원은 23일 열린 제133회 김포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5분발언을 통해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사업은 한강하구와 대명항을 비롯한 인천 앞바다의 하천 및 해양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며 “대명항과 전류리 등 김포지역에서 어업을 영위해 가는 수많은 어민들의 생계에 명백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 의원은 “김포의 한강하구와 강화군을 둘러싼 해역은 우리의 미래자원으로 수천년에 걸쳐 자연환경이 형성된 곳”이라며 “특히 조력발전소의 건설예정지인 강화군 남단부터 한강으로 이어지는 김포반도 수역은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온전하게 보전된 유일한 구역”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 의원은 “한국수력원자력㈜가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사업은 해당지역인 인천광역시와 우리 김포시 사이에 일절 협의가 없었음은 물론 객관적인 논의를 한 바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제3차 공유수면매립계획의 강화조력, 인천만조력, 아산만조력까지 조력발전소 건설은 사전환경성 검토절차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중앙연안관리심의회에 안건으로 상정되지 못하고 반려됐다”며 “이는 갯벌훼손과 어족자원고갈, 어장파괴, 수질악화, 지형변화에서 경제성 부족 등 조력발전으로 인한 환경파괴의 심각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그러나 한국수력원자력㈜는 제3차 공유수면매립계획이 반려된지 일년만인 지난 7월27일 다시 국토해양부에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 요청서’를 제출해 인천만조력발전소에 모든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현재 주민설명회 무산공고 취소 소송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사업의 찬반여부를 떠나 해당지역주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이런 상황 속에서 국토해양부는 경기도에, 경기도는 김포시에 오는 8월 27일까지 이 사업에 관한 검토의견을 제출하라는 공문을 보내왔다”며 “집행부는 지금이라도 당장 대명항 어촌계 뿐만 아니라 인천만조력발전소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되는 전류리 어촌계 등 한강 연안 어촌계에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취합해 시의 단호한 입장을 경기도와 국토해양부에 제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