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 유출 과다하다는 지적 제기
석유공사가 2조9천억원 가량의 영국 다나社를 인수하면서 무려 1조1천원을 더 주고 4조원에 인수한 것으로 드러나 해외자원개발에 따른 국부 유출이 과다하게 이뤄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석유공사가 새정치민주연합 해외자원개발 국부유출 진상조사위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석유공사가 지난 2010년 9월 영국 다나社를 인수할 당시 주당 평균 13파운드(한화 2만3천629원)인 주식을 18파운드(한화 3만2천269원)에 인수했다.
이는 주가총액 15.9억 파운드(한화 2조8천900억원)보다 6.2억파운드(한화 1조1천269억원) 많은 22.1억파운드(4조169억원)에 인수한 것이며 당시에는 유럽이 경제위기 여파로 다나社 주가는 11파운드(한화 1만9천993원)까지 떨어지는 상황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진상조사위는 석유공사의 자문사인 메릴린치가 영국 증권시장에 공시돼 있는 자료와 제3자 기관의 자료 등 불분명한 자료로 작성한 자문보고서를 믿고 투자를 진행했고 메릴린치는 자문료로 74억원을 챙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메릴린치의 불분명한 자문에 대한 지적은 석유공사 내부에서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10년 8월19일 열린 석유공사 이사회에서 메릴린치의 자문보고서에 대해 “다나社의 당기순이익이 상당히 낮은 편이고 다나社 부채상환 등을 고려할 때 필요시 추가로 10억달러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등 부정확한 자문에 대한 우려와 지적도 있었으나 투자는 감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석유공사의 다나社 인수는 MB정권 기간인 지난 2008년 이후 석유공사가 투자한 사업 가운데 성과를 내고 있는 사업이라고 알려졌으나 다나社 실적에는 1996년에 투자한 영국 북해의 캡틴광구의 실적을 포함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다나社의 실적은 민간기업을 통해 국내로 반입한 원유 110만배럴(한화 1천361억)과 배당수익으로 회수한 2억8천만달러(한화 3천억)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나社는 2011년 10월부터 캡틴광구를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이에 진상조사위 간사 부좌현 의원(안산단원을)은 “그동안 석유공사가 투자한 사업 중 그나마 성공한 사업이라고 알려졌던 다나社 인수가 불분명한 자문에 근거해 무리하게 이뤄졌고 이후 실적도 과대 포장됐다”고 지적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