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가스 배출돼 실내사용 부적합… 영농법인, 소비처 대체안 검토중
16일 시와 영농조합 법인 등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지난 2010년 12월30일 영중면 영평ㆍ영송리를 저탄소 녹색마을로 지정했다. 이후 녹색마을 시범사업으로 축분(우분)을 발효, 건조, 성형 과정을 걸쳐 연료화하는 축분연화 시설 및 비료공장을 73억 원(국비 23억 원, 도비 7억 원, 시비 36억 원, 자부담 7억 원)을 들여 2014년에 완공했다.
영중면 영송리 712번지에 들어선 1일 50t 규모의 축분연료공장은 마을기업인 영평ㆍ영송영농조합 법인이 맡아 운영하기로 하고 시험 가동에 들어가는 등 마을 소득사업으로 기대가 높았다.
축분고형연료를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 보내 열량을 분석한 결과 고열량으로 분석됐고, 충남 당진 현대체철소의 표본 200t에 대한 검사에서도 연료로서의 성능이 ‘적합’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가격도 t당 32만 원으로 분석돼 타 연료보다 가격경쟁력도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1일 2만 두의 우분을 합법적으로 처리할 길이 열리게 돼 조합의 기대도 높았다.
하지만, 연료로 사용할 때 나오는 메탄가스로 인해 실내에서 사용하기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지적되면서 마땅한 소비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러면서 시 축산과는 대책도 없이 손을 놓고 있고 영농 법인을 조직한 마을 주민도 녹슬어가는 장비만 쳐다보고 있다.
영농 법인 이원화 사무국장은 “수십억 원을 들여 축분고형연료공장을 만들어 놓고도 가동도 못 해본 채 녹슬어가는 기계를 보면 한숨 밖에 안 나온다”며 “정부가 지원했으면 이에 따른 소비처 등 대안도 함께 제시해 마을 소득사업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영농 법인은 시와 축분연료 공장 가동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검토되는 안은 축분연료를 주 연료로 하는 발전소를 건립하는 방안과 화훼, 하우스 농가에 연료로 공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발전소는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하고 화훼, 하우스 농가 연료지원은 또 다른 예산 투입의 문제가 발생해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시 축산과 관계자는 “시로서도 뾰쪽한 대안이 없어 답답하다”며 “영농법인과 계속 협의를 통해 공장 가동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