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14 (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경기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위해 광역 소각장 확대키로

▲ 경기도 광역소각장 확대 계획

경기도가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위해 현재 7개소인 광역소각장을 오는 2020년까지 9개소로 확대하기로 했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먼저 생활쓰레기 직매립제로화를 위해 현재 화성ㆍ오산, 과천ㆍ의왕 등 17개 시ㆍ군이 공동 사용하는 7개 광역소각장을 9개로 확대한다. 이는 생활쓰레기의 직매립을 금지하고 쓰레기에서 에너지를 회수하는 소각으로 쓰레기 처리 정책을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도 전체 쓰레기 처리용량은 5천269톤/일(24개 시ㆍ군 28개소)으로 1일 평균 3천470톤을 소각 처리해 자체처리 용량은 충분하다. 

하지만 쓰레기 소각처리가 개별 시ㆍ군별로 남거나 부족한 실정으로 과ㆍ부족 시ㆍ군간 광역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고양시와 부천시 평택시, 안성시, 구리시, 남양주시 등은 처리용량이 부족해 증설이 필요하고 양주시와 이천시, 파주시는 소각장 운영비 절약을 위해 타 기관의 폐기물을 받아야 하나는 상황이다.

실제 양주시는 지난 2014년 12월부터 서울시 은평구 폐기물을 반입하고 있으며 이천시는 지난 2014년 9월부터 서울시 강동구 폐기물을 반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평택ㆍ안성(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국제화 계획지구 일원) 권역에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SRF제조ㆍ250톤/일) 시설을 신설(250톤/일)한다. 또 부천ㆍ안산 권역도 부천에 광역소각시설을 증설(300톤/일)할 계획이며 구리ㆍ남양주 권역도 구리에 소각로를 오는 2019년까지 증설(100톤/일)할 예정이다.

 

또한 도는 수원과 부천, 용인, 과천, 광명 등에 위치한 노후 소각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현재 계획중인 광명과 용인부터 우선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지난 2일 수원, 성남 등 쓰레기소각장을 갖고 있는 도내 23개 시장ㆍ군수와 함께 ‘Zero Waste 경기도’ 비전 실천방안의 일환으로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 협약’을 체결했다.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은 수해 또는 화재, 고장, 보수 등의 원인으로 소각장 가동이 멈췄거나 수도권매립지 매립이 어려울 경우 시군간 협력을 통해 쓰레기를 공동 처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ㆍ군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비상시 행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품앗이 소각 네트워크를 확대 구축한 것이다.

 

도 관계자는 “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어 기존 처리시설의 규모와 지역특성, 행정구역 통합안 등을 고려해 79개 중권역으로 설정, 폐기물 처리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원재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