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포항·나진항 등 현대화 8조5천328억 소요 전망
UN 대북제재 해제 필수
남북간 항만물류 협력을 위해선 북한 남포항, 나진항 등 항만 현대화 사업 선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항만정책연구실 연구원 외 3명은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항만물류 부문의 협력사업 발굴’ 현안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엔 북한 항만 현대화 사업비를 국내 항만시설 개발비 기준으로 최소 8조5천32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북한 항만별 물류 인프라 개발 추정 사업비는 남포 신항만 개발 3조6천316억원, 남포항 컨테이너부두 야드 확장 및 하역장비 지원 557억원, 청진서항 선석 개발 9천310억원 이다.
또한, 나진항 신규 컨테이너 터미널 개발 3천316억원, 나진항 1~2호 기존부두 준설 및 안벽(2개) 개보수 1천361억원, 나진항 배후 물류산업단지 개발 1천59억원, 원산항 기존부두 안벽 개보수 2천342억원, 원산항 신규컨테이너 부두 개발 1천935억2천만원 등으로 분석됐다.
기존 부두에 신규 부두건설 사업인 경우 진입항로, 배후철도 및 도로, 방파제 건설 비용 등은 포함되지 않으나, 신항만 건설시에는 추정 사업비에 포함됐다.
이 보고서엔 남북 항만물류 교역이 활성화되면 원산항과 나진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약 150만TEU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기열 연구원은 “남북 항만물류 사업 추진을 위해선 UN 대북제재 해제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북한의 비핵화 노력이 요구된다”며 “우선 북한의 인프라 개발수요 파악, 경제적 타당성 분석 등 사전조사와 관련 법·제도 마련, 운영 및 관리부문의 협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제 사업비는 물동량 수요에 항만입지, 개발 방향 등 항만 개발 규모 및 건설환경, 노무비 적용 방식 등에 따라 공사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허현범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