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14 (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경기도, 생활하수 정화 소비에너지 절감 기술개발

▲ 1-1.하절기 조류성장 모습
하절기 조류성장 모습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생활하수 정화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대 50%까지 절감하는 원천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부강테크와 함께 ‘미세조류와 탈질세균의 공배양을 이용한 질소 제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질소 제거방법’ 특허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 테스트를 마쳤다고 27일 밝혔다.

이 기술은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하수에 녹아있는 다양한 미생물이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 특성별 서식공간 분리 방식’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다량의 산소를 ‘전기식 송풍’ 방식으로 주입할 때 소비되는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현재 국내 하수처리장 전체 전기소비량의 절반가량이 ‘전기식 송풍’ 방식으로 소비되는 점을 고려할 때 신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상당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 기술을 통해 수처리 속도 8배 향상, 조류 생산량 3배 증가, 소요부지 면적 95%이상 절감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2015년 ㈜부강테크에 이전한 원천기술을 상용화한 것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 신기술을 하수처리 관련 수요가 매우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 중남미 국가에 활발하게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미혜 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2014년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을 추진한 이후 특허 14건 출원, 기술이전 3건, 특허 기술상 1건 등 가시적으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 1-2.동절기 조류 모습
동절기 조류 모습

김해령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