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한국당, “중징계, 탈당, 경선 불복 최대 30% 감점 적용 검토”

자유한국당이 내년 21대 총선 공천심사 시 중징계를 받았거나 탈당 이력, 경선 불복 경험이 있는 인사에 대해 최대 30% 감점의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정치신인에게는 최대 50%, 청년 40%, 여성에게는 30%의 가산점을 주는 방안도 마련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같은 공천룰 최종 확정시 물갈이 폭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한국당에 따르면 신정치혁신특별위원회(위원장 신상진)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공천룰’ 안을 당 지도부에 보고했다.

혁신특위의 ‘공천룰’ 안은 최고위원회의 등 당내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향후 공천제도특별위원회의 공천룰 논의 과정 시 기초 자료가 될 전망이다.

공천심사 시 불이익을 받을 징계 이력자로는 ‘당원권 정지’와 ‘제명’ 등 중징계를 받은 경우가 거론된다. 당원권 정지를 받았을 경우 징계 종료일로부터 3년, 제명 처분을 받았을 경우 징계 확정일로부터 5년까지 감점을 적용토록 한다는 것이다.

탈당 이력이 있는 인사는 선거일 전 150일을 기준으로 최근 4년 이내 탈당한 경우로 한정해 감점하는 방안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선거일 기준 최근 5년 이내 경선 불복 후 출마했거나 다른 당 입당을 포함해 해당 행위를 한 인사에 대해서도 감산을 적용하기로 했다.

한국당은 또 정치 문호를 확대하기 위해 연령별로 청년층 가산점을 차등해 지급하는 안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당헌·당규상 만45세 미만으로 규정된 청년층을 ‘만29세 이하’는 40%, ‘만30세 이상부터 만35세 이하’는 35%, ‘만36세 이상부터 만40세 이하’는 30%, ‘만41세 이상부터 만45세 이하’는 25% 등으로 세분화해 가산점을 주는 방식이다. 이는 지난 20대 총선 당시 ‘청년 신인’을 40세 이하로 규정하고 20%의 가산점을 준 것과 비교하면 크게 상승한 것이다.

한편 한국당은 선거 지형을 ▲선제 추천 ▲승부처 추천 ▲우선 추천 ▲전략 추천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눠 후보자 추천 방법을 다양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선제 추천’은 다른 대안 없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진 후보를 공천하는 것이고, ‘승부처 추천’은 과거 선거에서 승패가 반복된 ‘접전 지역’에 최적화된 후보를 공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우선 추천’은 정치신인, 청년, 여성, 장애인, 국가유공자 중 경쟁력 있는 영입 인재로 분류되는 후보자를 한국당이 유리한 지역구에 우선 공천하는 것이고, ‘전략 추천’은 여당 유력 정치인의 지역구에 경쟁력 있는 인물을 전략 공천하는 이른바 ‘자객공천’과 같은 성격이다. 김재민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