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수거 차를 없애 쾌적한 환경을 만들겠다며 수백억 원을 들여 아파트단지 등에 설치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가동률과 처리율이 모두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명 ‘크린넷’으로 알려진 자동집하시설은 공기 흡입을 통해 지하에서 쓰레기를 자동으로 운반하는 시설로, 신도시 아파트단지에 대부분 설치돼 있는 시설이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왕·과천)이 환경부와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경기도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운영 현황’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경기도에 설치된 크린넷은 총 26곳으로 연평균 유지비용은 138억 원에 이른다.
그러나 비싼 유지비용에 비해 크린넷의 가동률은 평균 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이하의 가동률을 보이는 곳은 의왕 포일2지구, 성남 판교 제1~4집하장 54%, 김포 한강 제2집하장 51%, 김포 한강 제1집하장 49%, 김포 양곡 43%, 파주 가림·산내·한울·한빛 집하장 43%, 화성 향남2지구 42%, 남양주 중앙·2집하장·3집하장 40%, 과천 래미안에코팰리스 30% 순이며, 고양 덕이지구는 현재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또, 최근 3년간 크린넷 26곳의 쓰레기 처리 계획량은 39만 6천여 톤이었지만, 실제 처리량은 19만 5천여 톤으로 처리율이 49%에 불과했다.
반면에 크린넷 관련 민원은 증가하고 있다. 소음·악취 등 민원이 2015년 196건에서 2016년 183건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2017년 246건, 2018년 436건, 올해 9월 말까지 795건으로 4배 증가했다.
신창현 의원은 “수백 억 원짜리 자동집하시설이 법적 근거도 없고 소관 부처도 없다”면서 “자동집하시설의 설치·운영 근거와 관리책임에 대한 개정안을 발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크린넷이 ‘폐기물관리법’에 의한 폐기물처리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폐기물배출과 관련된 사항 이외의 내용은 국토교통부 사항”이라고 밝혔다.
과천=김형표 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