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대학 고용자 10명 중 6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17일 수원시에 있는 광교바이오센터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대학 비정규직 실태조사 보고회 및 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도가 현재 비정규직 현안을 파악하고 향후 도 차원의 해결방안 도출, 정책 자료 활용을 위해 시화노동정책연구소를 통해 추진됐다. 조사 대상은 도내 76개 대학(4년제 30개, 2ㆍ3년제 31개, 대학원대학교 15개)이다.
그 결과, 도내 76개 대학의 전체 비정규직 규모는 직접고용 비정규직 53.8%, 간접고용 8.6% 등 모두 6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간접고용 노동자 중 청소ㆍ경비ㆍ시설관리 분야가 72.9%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대학 내 비정규직 노동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9%가 가장 힘든 점에 대해 ‘낮은 임금’이라고 응답했다. 이들의 평균 연봉은 정규직 대비 56.1%로 조사됐으며 월 급여는 37.5%가 150만 원 이하를, 26%가 151만 원에서 180만 원 이하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휴게실이 없거나 간이시설로 때운 대학이 전체의 38.3%에 달했다. 그뿐만 아니라 시간강사 등 비정규 교원이 전체 교원의 61%를 차지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대학 내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한 휴게실 개선과 간접고용의 직접고용 전환을 위한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제시됐다. 아울러 최저임금 등 법 준수 실태 모니터링 활동과 함께 생활임금 적용 양해각서 체결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류광열 경기도 노동국장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열악한 휴게 여건은 비단 대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도에서는 이번 실태 조사 결과를 기초로 휴게여건 등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개선과 권익보호 정책을 보완·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내년 신규사업으로 ‘비정규직 휴가 지원’, ‘대학교 현장노동자 휴게시설 개선 지원’, ‘이동노동자 반디셔틀 운영 및 반디쉼터 설치’ 등 민선 7기 ‘공정경기 노동존중’ 실현 및 비정규직 처우개선을 위한 사업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창학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