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평화 현장인 판문점 남측 지역이 67년째 주소(지적공부)가 없어 파주시민참여연대 등이 나서 ‘파주땅 찾기’ 청와대 국민청원을 예고한 가운데 (본보 7일자 3면) 정부와 헌법기구, 국내 포털사이트에서 판문점 위치를 제각각 달리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파주시민참여연대 등에 따르면 현재 판문점 남측 지역에 주소가 없어 정부와 헌법기구, 국내 포털사이트에서 판문점 위치를 제각각 달리 표시하는 것은 물론 해외 각종 매체들에 판문점 주소가 개성시로 표기되는 등 혼란을 야기, 지적복구등록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 판문점 남측지역이 통일부홈페이지는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로 표기돼 있는 반면 대통령자문헌법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로 표기돼 있다.
한국관광공사는 판문점 위치를 ‘남한 땅도 북한 땅도 아닌 공동경비구역이다. 유일한 유엔ㆍ북한 공동경비지역으로서 남ㆍ북한의 행정관할권 밖에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국내외 포털사이트의 경우 네이버ㆍ다음ㆍ구글은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로, 판문점 북측지역은 개성특별시 판문점리에 위치하고 있다고 검색된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구글 지리 정보에서 회담 장소인 판문점 ‘평화의 집’ 주소가 개성시로 검색되면서 문화체육관광부가 바로 잡는 일도 있었다.
이처럼 판문점 위치가 정확하지 않자 외신들에서도 오기하는 경우가 잇따라 발생했다.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은 지난 2018년 4월27일 남북정상회담 전후 6주간 외신매체에서 한국 관련 기사 253개에서 총 312건의 오류를 찾아냈다. 외신은 판문점과 공동경비구역이 별개의 구역으로 표시하거나 판문점을 ‘국경 마을’, ‘정전촌(停戰村)’ 등으로 설명했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판문점 위치에 대한 정부 및 국내외 포털사이트의 혼란은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 이후 유엔사 관할이라는 이유로 판문점 남측지역(진서면 선적리 일원)이 지금껏 지적복구가 안됐기 때문이다”며 “사실상 67년째 방치됐다. 파주시는 추정치지만 총 38필지(약15만4천㎡) 지적복구 등록을 위해 국토부, 통일부 등과 협의, 빠른 시일내에 파주시 땅을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지적복구를 위해 필요한 1910년대 최초 등록 당시의 지적공부와 측량결과도 존재 여부 등을 경기도와 파주시, 국가기록원 등에서 확인 중에 있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