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시 발생했던 파주 두포리 민간인 학살사건 영상자료가 69년만에 공개된 가운데(본보 2019년 9월13일자 1면), 파주시의회가 당시 희생됐던 민간인들에 대한 위령사업 등을 지원하는 조례를 발의했다.
파주시의회 미래통합당 조인연 의원(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파평면, 군내면, 진동면)은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앞두고 전쟁중 남북한에 의해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 희생자를 추모하고, 다시는 이런 민족적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평화와 인권 회복에 이바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파주시 6ㆍ25전쟁 민간인 희생자 위령사업 지원 등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11일 밝혔다.
최창호ㆍ안명규ㆍ한양수ㆍ목진혁ㆍ윤희정 의원 등 5명의 여야의원이 공동 발의한 이 조례안은 오는 22일 제218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된다.
조 의원이 발의한 이번 조례안은 한국전쟁 당시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의 추모 등에 관한 시장의 책무 ▲지원 대상 ▲평화와 치유, 인권 교육 사업 등 민간인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지원 등이 담겨 있다.
지난 1995년 발간된 파주군지에는 한국전쟁 당시 파주에서 사망 1천266명, 납치 138명, 행방불명 369명, 부상 229명 등 모두 2천2명이 죽거나 납치, 다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조인연 의원은 “광복후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양대 이념세력의 대리전이 한반도에서 일어나 많은 민간인 피해가 발생했다”며 “조례 제정을 통해 한국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추모하고, 파주에서 발생했던 민족의 아픔을 치유, 평화와 인권 회복에 도움이 되고자 발의했다. 이 조례로 위령사업과 같은 실질적인 정책과 사업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군은 지난 1950년 10월2일 유엔군의 서울 수복 이후 퇴각하면서 끌고 가던 경찰, 공무원, 대한청년단원 등 97명을 파주 임진강 전진대교 옆 산중턱에서 학살했다. 김현국 파주아카이브자료연구가 겸 향토연구가는 이 사건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당시 영상필름 기록을 발굴, 처음 공개하면서 큰 충격을 던져줬다.
파주=김요섭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