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HWPL, 올해 첫 평화순방에 필리핀… 민다나오 평화 정착 재확인

9년전 민다나오 평화 협정 체결 이끈 HWPL 평화의 날 국가 기념일 지정 추진
마닐라 등 주요도시 전쟁종식 평화 국제법 DPCW 공식 지지 확대  

필리핀 민다나오에서는 40여년 유혈 분쟁으로 약 12만 명이 사망하고 200만여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이같이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받는 가운데 2014년 HWPL 이만희 대표의 중재로 현지의 이슬람과 가톨릭을 대표하는 두 지도자 간의 민간 평화협정이 체결됐고, 이후 MILF와 필리핀 정부의 공식협정이 체결되며 분쟁이 종식된 바 있다. (사)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HWPL) 제공

 

(사)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대표 이만희, 이하 HWPL)이 지난 23일부터 28일까지 32번째 평화순방으로 필리핀에 방문해 필리핀 민다나오섬의 평화 정착을 재확인하고 공공 및 민간차원에서 HWPL 평화사업에 대한 공식 지지를 얻었다.

 

지난 28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한 HWPL 평화사절단은 “필리핀 정부와 모로이슬람해방전선(MILF)과의 평화협정을 통해 최근 자치 정부가 수립되며 평화가 이뤄지고 있음을 눈으로 직접 확인했다. 9년 전 HWPL 이만희 대표가 민다나오섬의 분쟁을 민간차원에서 중재했던 것이 평화의 씨앗이 되어 결실을 맺었고, 이날을 기념하는 ‘1.24 평화의 날’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하자는 결의문까지 이어졌다”고 밝혔다.

 

HWPL 평화사절단은 25일 필리핀 마닐라 파사이 시에서 열린 제1회 필리핀 국가 평화 회의에 초청을 받아 참석했다. ‘평화로 구축하는 하나된 국가, 하나된 미래: 평화가 여기에!’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회의는 필리핀 교육부, 국가평화위원회, 국가사면위원회, 국립경찰청 등 여러 국가 기관들의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이날 행사에는 정치·종교·교육·언론 등 여러 분야 대표 1천500명 이상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1월 24일을 ‘국가 평화의 날(National Peace Day)’ 또는 ‘휴전의 날(Truce Day)’로 제정하고 국가 공휴일로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통합 결의문을 채택했다. 9년 전인 2014년 1월 24일 이만희 대표는 현지 종교계 및 정치계 인사들의 제안으로 평화 중재에 나서며 민다나오 민간 평화협정 체결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이에 민다나오에서는 이날을 ‘평화의 날’로 기념하며 여러 행사를 열고 있는데, 이를 범국가적 기념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결의문이 마련된 것이다.

 

필리핀 민다나오에서는 40여년 유혈 분쟁으로 약 12만 명이 사망하고 200만여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이같이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받는 가운데 2014년 HWPL 이만희 대표의 중재로 현지의 이슬람과 가톨릭을 대표하는 두 지도자 간의 민간 평화협정이 체결됐고, 이후 MILF와 필리핀 정부의 공식협정이 체결되며 분쟁이 종식된 바 있다.

 

HWPL 이만희 대표는 “가톨릭과 이슬람 간 40년 분쟁으로 12만 명이 죽은 민다나오에 처음 방문했을 때 ‘각 지도자와 주민들을 불러 각자가 섬기는 신이 사람을 죽이라고 가르치는가?’라고 물으며 오늘을 기준해서 전쟁을 멈추고 함께 평화운동을 하자고 제안하고 각서를 쓰게 했다. 정부나 군대나 그 누구도 할 수 없었던 일을 민간 차원에서 이뤄낸 것”이라며 “HWPL은 평화를 위해서 일한다. 대한민국도 전 세계에서 최고의 평화의 나라가 되도록 만들어 가자. 도와달라”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