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양주 부동산시장 침체 언제까지?…청약시장 부진에 미분양 아파트 급증

양주 역세권사업지구 내에 분양한 제일풍경채 모델하우스 전경. 이종현기자
양주 역세권사업지구 내에 분양한 제일풍경채 모델하우스 전경. 이종현기자

 

GTX-C 노선 착공으로 부동산시장 최대 호재로 집값을 끌어올렸던 양주지역 부동산시장이 1년 넘게 공사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

 

24일 지역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아파트 청약시장이 부진을 거듭하면서 미분양 아파트 급증 등 부동산시장 침체가 고조되고 있다.

 

경기도가 집계한 미분양 통계를 보면 3월 말 기준 지역의 미분양 아파트는 1천837가구(전월 801가구)로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미분양 물량이 증가한 곳은 양주가 유일하다.

 

현재 추진 중이거나 건설 중인 아파트 14곳 중 역세권지구에서 분양한 두 곳을 제외한 12곳이 미분양 상태로 특히 지난해 분양한 아파트들에서 대규모 미분양 물량이 발생했다.

 

지난해 9월 백석읍 복지리에 공급한 양주백석 모아엘가 그랑데는 일반청약 물량 929가구 중 35건만 청약(평균 경쟁률 0.04 대 1), 810가구가 미분양 상태다.

 

덕계동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도 지난해 청약 당시 709가구 모집에 97건(평균 경쟁률 0.14 대 1)만 접수하는 등 325가구가 미분양 상태다.

 

올해 청약시장 역시 냉각된 모습이다.

 

2월 분양한 용암 영무 예다음 더퍼스트는 279가구 모집에 26건만 청약했고 2023년 분양해 계약자가 3가구에 불과하자 사업을 접었다가 브랜드를 바꾼 덕정역 한라비발디에피트로(427가구)도 부진하다.

 

공급 과잉이 심각한 수준이다.

 

2023년 1만385가구, 지난해 7천146가구 등 최근 2년간 1만7천531가구가 공급된 반면 연평균 적정 수요는 1천151가구에 불과해 공급이 수요를 크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정이 이런데도 공급 대기물량은 계속 쌓이고 있다.

 

신영 디벨로퍼가 다음 달 옛 서울우유 자리에 1천595가구 공급을 준비 중이고 회천지구 주상복합용지 두 곳에 순차적으로 아파트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과거에는 옥정이나 회천 같은 신도시 중심으로 수요가 있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난해보다 분위기가 식었다”며 “특히 일부 단지는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높아 주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 부동산시장이 침체 국면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옥정이나 회천신도시 일부 분양가가 높은 점도 한몫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