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인천 청년층 등 가계부채 급증…취약계층 부채 모니터링 강화 시급

한국은행 인천본부 모습. 한국은행 인천본부 제공
한국은행 인천본부 모습. 한국은행 인천본부 제공

 

인천지역 가계부채 증가율이 전국 최대인 가운데, 저소득 고령·청년층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25일 발표한 ‘인천지역 가계부채 현황 및 잠재리스크 점검’ 조사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말 기준 인천 가계부채는 116조원이다. 이는 지난 2018년 말 89조원 대비 29.9% 증가한 수치다. 전국 평균 증가율 18.1%보다 높고, 인천보다 높은 지자체는 세종(30%)이 유일하다.

 

1인당 가계부채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1인당 가계부채는 9천930만원으로 전국(9천553만원), 광역시(9천590만원) 평균을 웃돈다. 대출 유형별로 보면, 주택 관련 대출이 68.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특히 인천은 다른 지역 대비 청년층의 가계 대출 비중이 크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대출 비중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청년층의 대출 비중은 29.9%로, 광역시(27.5%) 및 전국(26.9%) 평균보다 높다. 고령층은 2018년 말 13.3%에서 2024년 말 16%로 늘었다.

 

한국은행 인천본부 최대한 기획조사팀 과장은 “인천 경제활동 인구 중 청년층은 33.3%,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5.7%”라며 “다른 광역시 평균보다 높아 이 같은 수치가 나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득이 적을수록 채무상환부담이 증가하고 소비활동도 위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택 관련 대출, 저소득 고령·청년층 등 취약계층의 가계부채를 정기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과장은 “이들을 대상으로 가계부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상환 여력, 연체 현황도 꾸준히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취약계층이 연령대 및 재무상황에 맞는 맞춤형 금융지원을 적절하게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류,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