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5 (토)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사설] 코로나에 살인적 폭염, 취약계층 보호책 절실하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무섭다. 기세가 갈수록 거세져 21일 신규 확진자가 1천784명 늘었다.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20일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이 최근 비수도권 곳곳으로 번지면서 전국화하는 양상이다.

이런 심각한 상황에 역대급 폭염이 한반도를 덮쳤다. 한낮 기온이 35~36도에 이르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고통스럽다. 취약계층 어르신이나 쪽방촌 주민들은 폭염을 피할 곳이 마땅치 않아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옥외 근로자나 농업인 등도 한낮 작업은 엄두도 못낸다.

전국 대부분의 도시에 폭염경보, 폭염특보가 발령됐다. 무더위가 본격 시작되면서 다음주까지 대기권에 복사열을 가두는 ‘열돔(heat dome)’ 현상에 따른 폭염이 무서울 기세라 열사병 등 온열 질환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우려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온열 질환자는 2017년 1천574명, 2018년 4천526명, 2019년 1천841명, 2020년 1천78명 발생했다. 이중 사망자는 2017년 11명, 2018년 48명, 2019년 11명, 2020년 9명에 달했다. 2018년 온열 환자와 사망자가 많은 것은 열돔현상에 따른 폭염이 한 달 이상 지속했기 때문이다. 올해도 살인적 폭염에 인명피해가 걱정되는 만큼 노약자, 중증장애인, 취약계층 등 에너지 빈곤층의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전국에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탈원전’을 내세우던 정부가 심각한 전력난을 우려해 신고리 4호기 조기 재가동을 결정했다. 정전과 발전시설 고장 등 돌발 상황이 발생해 블랙아웃 등 대혼란이 발생할 수도 있어 결정한 선제 조치다. 정부는 폭염에 전국 490여개의 병원과 함께 온열질환 응급 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한다. 지자체와 함께 응급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취약계층에게 올 여름은 어느 해보다 힘겨울 것이다. 몸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이나 거리에서 더위를 견뎌야 하는 노숙인들은 폭염이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다. 마스크를 쓰면 가뜩이나 호흡이 어려운데 무더위까지 닥쳐 외출은 엄두도 못내는 어르신이나 환자도 있다.

폭염은 기승을 부리는데 에어컨 있는 무더위쉼터는 문을 닫거나,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이용자 수를 크게 줄인 곳이 많다. 지자체들은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효율적으로 무더위쉼터를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체감 40도에 육박하는 찜통더위 속에 사회적 약자를 위한 현실적인 폭염 대책이 절실하다. 코로나에 폭염까지, 이중고로 인명 피해를 겪지 않도록 행정력을 총동원해야 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